91page

91 알면 상식이 되는 우리 역사 명칭 해설 1 해설 2 해설 3 근장대장군 近仗大將軍 고려왕조 중앙군 중 용양군·용호군에 소속돤 대장군. 상장군은 근장 상장군이라 한다     금위대장 禁衛大將 조선왕조 금위영(禁衛營)의 주장(主將)으로 종2품 무신 관직     금군별장 禁軍別將 조선왕조 금군청 소속 무관으로 종2품직     금오위 金吾衛 고려왕조 2군 6위 중의 하나 경찰부대로 개경의 치안을 맡은 관청     금자광록대부 金紫光祿大夫 고려왕조 문관의 품계 중 하나로 종2품 품계     금자숭록대부 金紫崇大祿夫 고려왕조 문관의 품계 중 하나로 종1품 품계     금자흥록대부 金紫興大祿夫 고려왕조 문관의 품계의 하나로 종 1품의 품계     급벌찬 級伐飡 신라시대 17관등 중 9등관계로서 급찬, 급벌간이라고도 한다     급사중 給事中 고려왕조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소속된 종4품의 벼슬     기거랑 起居郞 고려왕조 문하부(門下府)의 관직으로 종5품의 벼슬     기거사인 起居舍人 고려왕조 문하부(門下府)의 관직으로 종5품 후에 정5품이 되었다     기거주 起居注 고려왕조 문하부(門下府)의 관직으로 종5품 후에 정5품이 되었다     기계사 機械司 대한제국 통리기무아문에 소속된 각종 기계 제작과 관리 업무 관장     기공국 紀功局 대한제국 충훈부를 개칭하여 관리의 녹훈, 상벌 담당     기로과 耆老科 조선왕조 임금이나 왕비, 대비의 나이가 60이나 70이 되 었을 때 경축의 의미로 시행한 과거로 기로정시(耆老庭試) 라고도 한다     기사관 記事官 조선왕조 춘추관의 역사를 기술하는 관직으로 6품로 시행 한 9품직까지 있으며 승정원, 예문관, 홍문관, 사간원, 시 강원, 관리중 겸직으로 임명하며 8명 정원으로 매일의 역 사를 기록한다     기술관 技術官 고려·조선왕조 공히 있었음, 잡과(의학, 통역, 건축 등의 직책)의 전문 기능직 관원     기연사 譏沿司 대한제국 통리기무아문에 소속된 기관으로 연안 포구를 내왕하는 선박의 조회·검사 업무를 관장하는 기관     기주관 記注官 조선왕조 춘추관의 사관(史官)의 직책으로 종5품의 관원 홍문관, 의정부, 사헌부, 사간원, 승문원 관리가 겸직     나인 內人 신라시대 17관등 중 11등급     나마 奈麻 궁중에 근무하던 여자 직원을 총칭한 말. 내일(內人)이 나 인으로 변형됨(궁인, 궁첩, 잉첩이란 별칭도 있음)     남창 南倉 조선왕조 금위영 소속의 창고 징수한 세금을 비축한 곳     낭관 郞官 고려왕조 서경에 설치한 관청. 유수관 이전의 명칭으로 행 정 총책임자 조선왕조의 실무 책임 을 맡은 정랑과 좌랑 을 통칭한 말로 정5품 이하의 요직에 종사한 관리를 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