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page

87 알면 상식이 되는 우리 역사 명칭 해설 1 해설 2 해설 3 고역전 尻驛典 신라시대 내 성산하에 역참을 관리하는 곳. 관리 수장에 간옹(看翁)1명과 궁옹(宮翁) 1명을 두었다     고율사 考律司 조선왕조 형조판서 산하 기관으로 율령의 조사와 형옥의 사찰을 맡았다     고훈사 考勳司 조선왕조 이조판서 산하 기관으로 관리의 훈봉(勳封), 내 명부, 외명부의 고신과 봉작및 시호, 노직 작첩, 향리의 급첩 등을 관리하는 관청     곡부 穀部 백제시대 궁중사무를 관장하던 22부 중 하나로 양곡과 농 업관계일을 관장하는 관청     곡호대 曲號隊 대한제국 군대의 행진과 군례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취주 악대     공덕부 功德部 백제시대 궁중사무를 보는 내관 22부의 하나로 불교 관계 제반 업무를 관장함     공무아문 工務衙門 대한제국 공작, 교통, 체신, 건축, 광산 등의 업무를 관장 하던 관청     공봉 供奉 고려왕조 예문춘추관의 정6품 관직으로 후기엔 춘추간의 정7품관이 됨     공야사 攻冶司 조선왕조 공조판서 산하 중앙기간으로 관서에 소요되는 금, 주옥 등의 세공 및 주조, 도자기, 기와, 도량형기를 제 작하였다     공력서 供譯署 고려왕조 역마를 관장하던 관청     공인 工人 조선왕조 음악을 하는 악공 굿당에서 무당을 도와 음악을 연주하는 악공 재인, 무부라고도 한다   공인 恭人 조선왕조 외명부 품계로 문·무관 정5품의 통덕랑, 통선 랑, 봉직랑, 봉훈랑의 정실부인에게 내린 작호     공장부 工匠府 신라시대 묘사(廟祠 - 사당)의 공사를 전문으로 하는 기관     공조서 供造署 고려왕조 왕이 쓰는 여러 기물과 장식품의 제조를 감시하 고 수지를 맡은 관청     공조판서 工曹判書 고려왕조 공부를 개칭한 전공사(典工司)의 책임자 정3품 전공사가 공조판서로 변경됨 조선왕조 공조의 장관   공주 公主 고려왕조 왕후가 낳은 딸 정1품직 조선왕조 왕후가 낳은 딸의 호칭   공직랑 供職郎 조선왕조 문관계 잡직의 하나로 정6품 관직     공진소 供進所 대한제국 궁내부 안에 설치된 임금에게 바치는 제사의 예 전(禮典)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던 관청     공진창 貢津倉 조선왕조 충남 아산시 공세리에 설치된 조창의 하나     과의교위 果毅校尉 조선왕조 무과 무반계의 정5품의 관계 이름     관군대장군 冠軍大將軍 고려왕조 정3품 무관의 품계(品階)     관리관 管理官 대한민국 정부 일반 공무원으로 1급공무원의 별칭 차관보 다음 직급     관리장 管理長 대한제국 탁지부대신의 명을 받아 금고를 감독하던 책임자     관문 關文 조선왕조 관청과 관청 사이에 오고가는 문서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