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page

136 명칭 해설 1 해설 2 해설 3 한림원 翰林院 고려왕조 국왕의 지시 업무를 수행하던 관청 후기엔 예문 관으로 변경됨     한림학사 翰林學士 고려왕조 한림원(翰林院) 소속의 정4품 관직 국왕에게 강 의도 하고 외교문서도 작성하는 등 국왕을 보좌하던 승지 와 같음     한량 閑良 조선왕조 양인(良人) 이상의 특수 신분층으로 향촌에서 특 별한 직업 없이 사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됨. 무관 집안 출신으로 아직 무과 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사람을 가 리키는 말     한성부판윤 漢城府判尹 조선왕조 수도 행정 총괄, 한성부의 장관으로 정2품 지금 의 서울특별시장     한솔 扞 率 백제시대 16관등 중 제5등급     항마군 降魔軍 고려왕조 윤관이 여진 정벌을 위해 승려들로 구성한 부대 명칭     해관 海關 조선왕조 후기에 항구가 개항되면서 설치된 관세 행정 기 구의 명칭 오늘의 세관     해동중보 海東重寶 고려왕조 고려가 발행한 화폐, 우리나라 최초의 주화(鑄 貨)의 하나로 1102년에 주주된 것으로 추측됨     해운판관 海運判官 조선왕조 전함사(典艦司)에 소속되어 조운(漕運)을 담당한 관리 종5품 관직     행수 行首 조선왕조 여러 사람이 모인 자리의 우두머리를 가르키 는 말 고려왕조 비주부(妃主 府 - 왕비궁)의 관직임   행수법 行守法 조선왕조 품계와 관직이 일치하지 않을 때 사용되었다. 관 직이 품계보다 높으면 수(守), 관직이 품계보다 낮으면 행 (行) 으로 표기하는데 이를 행수법이라 한다     행장 行狀 사람이 죽은 뒤에 그의 평생 이력과 업적을 기록한 글 조선왕조 외국인 무역 업자의 입국 증명서   향교 鄕校 조선왕조 각 지방에 유학에 대한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 설 립된 기관으로 교수와 훈도 등의 관리를 두었다     향시 鄕試 조선왕조 과거제도의 한 형태로 제1차 시험은 각 도에서 문과, 무과, 생원, 진사의 시험을 치루어 합격한 자를 다 음해 봄 회시에 시험을 보게 한 제도로 관찰사가 지명한 고을 수령 2명과 도사, 평사 또는 서울에서 파견된 시험관 주재로 주관했다     향약 鄕約 조선왕조 향촌의 자치규약 조광조의 발의로 시작되었으며 퇴계와 율곡선생 등이 중국 여씨향약을 모델로 좋은 일은 서로 권하고 나쁜 일은 서로 바로잡아 주며 어려울 때는 서로 돕는 정신 운동을 시작한 것이 향약이다     헌납 獻納 고려왕조 문하부 소속 5품의 관직으로 간쟁 업무 맡음 후 기엔 사간 보간으로 변경됨 조선왕조 사간원(司諫 院)의 정5품 관직   현감 縣監 고려와 조선왕조 최하위 지방 수령으로 고려 때는 7품 조 선 때는 종6품직 임기는 1800일     현령 縣令 신라시대 이래 고려왕조 조선왕조 각 현(縣)의 책임자로 종5품의 지방 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