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page

118 명칭 해설 1 해설 2 해설 3 외사정 外司正 신라시대 지방 관리들의 비행을 감찰하기 위해 지방에 파 견된 관리로 각 주에 2명, 군에 1명 총 123명이 있엇다     완문 完文 조선왕조 관청에서 발급된 인정서지금의 공문서     요무교위 耀武校尉 고려왕조 정6품 무관의 품계     요무부위 耀武副尉 고려왕조 정6품 무관의 품계     요무장군 耀武將軍 고려왕조 정6품 무관의 품계     요물고 料物庫 고려왕조 왕실이 소비하던 곡물을 관리하던 기관     욕살 褥薩 고구려 시대 지방 관직 큰 성의 성주라고도 함     우대언 右代言 고려왕조 밀직사(密直司) 소속의 정3품 관직 조선왕조 승정원(承政 院) 소속 정3품 관직   우보궐 右補闕 고려왕조 중서문하성 소속 정6품 관직 왕에게 간언하는 직책임 조선왕조 사간과 같음     우복야 右僕射 고려왕조 상서도성 소속으로 상서령 다음 가는 정2품의 관직 조선왕조 초기 삼사 (三司)에 소속된 종2품 의 관직   우부대언 右副大言 고려왕조 밀직사(密直司) 조선왕조 승정원 소속 정3품 관직   우부빈객 右副賓客 조선왕조 세자시강원 소속 종2품의 관직 우부수(右副率) 조선왕조 세자익위사 소속 정7품의 무관직     우부승선 右副承宣 고려왕조 중추원 소속 정3품 관직 후에 종 6품으로 되 었다 조선왕조 승선원(承宣 院) 소속의 관직   우사 右使 고려·조선왕조 삼사에 속한 정2품의 벼슬 우복야를 고친 이름     우사간 右司諫 고려왕조 중서문하성에 소속되어 간쟁을 맡아본 정6품의 벼슬이었으나, 뒤에 우헌납으로 고치면서 정5품으로 하였 다가 다시 종5품으로 바꾸었다     우의정 右議政 조선왕조의 정부에 소속된 정1품의 관직명으로 백관(百 官)을 통솔하고 서정(庶政)을 총괄함     우후 虞候 조선왕조 절도사의 종3품으로 참모장격 수군절도사 휘하 에는 정4품으로 임관됨     운검 雲劍 조선왕조 2품 이상의 무관으로 국가적 행사시 임금 좌우 에서 경호하던 장군으로서 임시직임     운휘대장군 雲麾大將軍 고려왕조 정3품의 무관 품계     원보 元輔 영의정(領議政)의 별칭     원사 院使 고려왕조 중추원(中樞院) 소속의 종2품 벼슬     원상 院相 조선왕조 어린 임금을 보좌하며 정사를 다스리던 관직     원외랑 員外郞 신라시대 집사성의 관직 고려왕조 중앙행정 기 관의 정6품 관직 후에 좌랑으로 변경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