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page

107 알면 상식이 되는 우리 역사 명칭 해설 1 해설 2 해설 3 삼도육군통어사 三道陸軍統禦使 조선왕조 후기에 충청도,전라도, 경상도의 육군을 통솔하 기 위하여 만든 제도로 충청도병마절도사가 겸임     삼도통어사 三道統禦使 조선왕조 인조때 경기도, 황해도, 충청도의 수군을 관장 하기 위하여 둔 제도로 경기도수군절도사가 관장함     삼도통제사 三道統制使 조선왕조 선조 때 이순신 장군에게 내린 직책. 삼도수군통 제사를 줄인 말로 칭함     삼사 三師 고려왕조 태사(太師),태부(太傅),태보(太保)를 합친 이름 으로 임금 자문 역으로 국가 최고 명예직 정1품     삼사 三司 고려왕조 돈, 곡식 등 국가의 재정을 관리하던 관청, 상서 성으로 변경되었다가 다사 환원됨 조선왕조 홍문관, 사 헌부, 사간원을 합해 삼사라 함   삼사사 三司使 고려왕조 삼사(三司)에 속한 정3품     삼중대광 三重大匡 고려왕조 정1품 문관에게 부여된 품계     삼한공신 三韓功臣 고려왕조 삼한 통일에 공로가 있는 공신에게 내린 품계     상경 上卿 정1품과 종1품의 판서(判書)를 가리키는 말     상경 尙更 조선왕조의 내시부(內侍府)에 소속되어 임금의 시중을 들 던 정9품     상공 尙功 조선왕조 내명부 정6품 궁관     상궁 尙宮 고려왕조 궁중에서 일하는 여성 조선왕조 내명부 직으 로 궁중 내의 각종 일 을 처리 정5품   상다 尙茶 조선왕조 내시부(內侍府)에 소속된 정3품으로 임금의 시 중을 들었다     상당 上堂 신라시대 왕실 사원 관리의 부책임자 내마(柰麻:11등급) 에서 아찬(16등급)에 해당하는 벼슬     상대등 上大等 신라시대 최고관직으로 모든 정사를 총괄했다     상례 相禮 조선왕조 통례원(通禮院)에 소속된 종3품     상만호 上萬戶 고려왕조 군직으로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 다음의 벼슬     상문 尙門 조선왕조 내시부(內侍府) 소속으로 궁궐 문을 지키는 종8품     상방사 尙方司 대한제국 임금의 옷(어복), 임금이 사용하는 물건(御物)과 직조를 담당하는 관청     상복사 詳覆司 조선왕조 형조판서 산하의 기관으로 중죄인에 대한 복심 사건을 관리하던 기관     상사 上士 대한민국 군의 계급으로 사병 중 원사 다음의 계급으로 일 반공무원 서기와 동급임 경찰공무원 경장과 동급     상서 尙書 고려왕조 6부의 장관 정3품의 관직으로 판서 전서 등으로 변경     상서령 尙書令 고려왕조 상서성(尙書省)의 장관 종1품의 벼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