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page

58 2024년 2월 순국 PEOPLE  아름다운 사람들 이달의 순국선열 상해에서의 생활을 청산하고 만주(중국 동북 지방)로 이동하여 다시 항일 무장투쟁에 헌 신할 것을 결심하였다. 1923년 9월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의용 군 제1중대장 백광운(白狂雲) · 제2중대장 최 석순(崔錫淳) · 제3중대장 최지풍(崔智豊) · 제5 중대장 김명봉(金鳴鳳) 등이 대원 약 500여 명을 이끌고 이탈한 뒤, 임시정부에 대표를 파견하여 이전의 광복군사령부를 계승한 임 시정부 직속의 통일 군정부(軍政府)의 수립을 요청하자 이를 기회로 만주로 귀환하였다. 그리하여 1924년 8월 서간도 통화현(通化縣) 에서 이들 중대장 김승학(金承學) · 윤세용(尹 世茸) 등과 협력하여 임시정부 군무부 직속의 군사기구인 육군주만참의부(陸軍駐滿參議府) 를 조직하여 항일 무장투쟁을 재개하였다. 그리고 1927년 3월에는 참의부의 교육위원 장 겸 제3행정구 위원장으로 선임되어 재만 한인동포들에 대한 민족교육과 자치의 실현 에 이바지하였다. 그런데 이 시기 만주 지역 독립운동계의 상황은 1925년 6월 11일 중국 동북군벌과 조선총독부 경무국장 사이에 체결된 이른바 ‘삼시협정(三矢協定)’에 따라 악화되어 갔다. 즉 중·일 양국 경찰은 한인 독립운동을 방지 하고, 중국 당국은 한인 독립운동자를 체포 하여 인도할 것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삼 시협정은 만주 지역에서의 항일 무장투쟁단 체의 활동은 물론 그 존립마저도 위협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악조건 속에서 만주 지역 에 1925년 이래 참의부(參議府)·정의부(正義 府)·신민부(新民府) 3부가 정립함으로써 어려 운 상황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 고 독립운동의 역량을 분산시키고 있었다. 때문에 3부 통합의 필요성이 커졌는데, 이는 1926년부터 국내외에서 전개되고 있던 민족 유일당운동에 의해 더욱 증폭되고 있었다. 이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의부는 1927년 8월 제4회 중앙의회를 개최하여, “만 주에서의 독립운동전선 통일을 위하여 신민 부·참의부와의 연합을 적극적으로 도모할 것 과 전민족의 독립운동전선 통일을 위하여 유 일당 촉성을 준비할 것” 등을 결의함으로써 3부 통합의 길을 선도하였다. 이후 전민족유 일당조직촉성회와 전민족유일당조직협의회 로의 분립과 대립, 3차에 걸친 통합회의 등 우여곡절 끝에 1929년 4월 1일 정의부를 주 축으로 신민부 민정파와 참의부 일부 계열이 3부 통합조직으로 국민부(國民府)를 성립시 켰다. 이때 그는 국민부 결성에 동참함으로써 당 시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나아가 지방 부 집행위원 겸 중앙사판소장(中央査判所長) 으로 선임되어 활동했다. 그리고 같은 해 12 월 20일 이당치국론(以黨治國論)에 따라 남 만주 일대의 민족유일당으로 조선혁명당이 결성되고, 그 당군으로 조선혁명군이 편성되 자 국민부와 조선혁명군 두 조직에도 가담하 여 항일 무장투쟁을 전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