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page

Special Theme • 신간회운동의 세계사적 의미 - 민주주의 민족운동으로서 신간회운동 33 필자 윤덕영 연세대학교에서 한국근현대사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20세기 동아 시아사의 맥락에서 한국근현대 정치 · 사상사를 연구하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에 서 30여 년을 근무하고 퇴직했으며, 한국사학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에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세계와 식민지 조선의 민족운동-한국 자 유주의의 형성, 송진우와 동아일보』(혜안, 2023), 『한국독립운동사 재조명-3 · 1운 동과 1920년대 국내 사회운동』(공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2),  『일제의 조선 참정권 정책과 친일세력의 참정권 청원운동』(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2) 등이 있다. 열악한 교육조건과 불평등한 차별을 시정하기 위한 청년과 학생들의 운동은 단순히 청년 학생들의 학내 투쟁에 머무르지 않았다. 광주학생운동에서 대표적 으로 드러나듯이 이들의 투쟁은 불평등하고 차별적 인 식민 교육제도와 교육체제를 개혁하기 위한 일제 에 대한 반제국주의 투쟁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표 현과 창작의 자유, 언론출판의 자유를 위한 언론인과 지식인, 예술가들의 투쟁도 단순히 개인의 자유를 위 한 투쟁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었다. 일제 본국과 차 별되는 식민지 조선의 민주주의와 자유를 위한 투쟁 이었고, 차별적 식민통치에 대한 도전이었다. 3 · 1운 동이나 6 · 10만세운동 같은 특별한 시기의 특별한 운 동이 아닌 한, 국내에서의 민족운동의 현실적 모습은 대중의 일상적이고 경제적인 권리와 식민지민의 민 주주의적 제 권리와 자유를 위한 각계의 다양한 운동 으로 나타났다. 또 이를 지원하고 이끄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신간회운동은 각계각층의 이런 다양한 사회운동과 민주주의 민족운동의 종합판이었다. 식민지 조선에 는 일체의 정치적 참정권과 자치권이 부여되지 않았 기 때문에, 선거권 획득이나 보통선거운동이 전개되 지 않았다. 신간회도 정치정당으로 활동하지 않았고, 할 수도 없었다. 신간회는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 자들이 연합하여 각계각층에서, 그리고 지역별로 분 산되어 전개되고 있던 노동 · 농민 · 학생 · 여성운동 등 제반 사회운동과 민주주의 민족운동을 상호 연결시 키고 지원하며, 추동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신간회 지회는 지역 사회운동의 거점이 되었고, 지역민의 일 상적이고 다양한 경제사회적 요구를 실현하기 위한 사회개혁 및 민주주의 운동에 앞장섰다. 일제 착취 기관 배격과 한국인 본위의 교육제도 실시, 언론 · 출 판 · 집회 · 결사의 자유 등 다양한 정치적 자유와 제반 민주주의 권리 획득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신간회는 근대 국민국가 수립에 필수적인 민주주 의 훈련장이자 민주주의 민족운동의 거점이었다. 신 간회 내에서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들은 때로 는 협력, 때로는 대립했지만 그런 과정 자체가 근대 민주 정치의 훈련이기도 했다. 신간회운동 과정을 통 해 근대 국민국가의 국민으로서의 민주주의적 소양 과 경험을 축척해 갔다. 물론 신간회운동이 여러 측 면에서 적지 않은 한계를 보인 것도 사실이다. 식민지 조선의 민족운동은 근대 국민국가를 만들 었던 서구와 일본의 민주주의운동과 무관한 것이 아 니었다. 식민지라는 조건하에서 서구와 일본의 민주 주의운동의 경험과 결과를 참고하여 운동을 전개했 다. 1917년 러시아혁명 이후로는 세계 사회주의운동 의 경험도 적잖이 반영되었다. 동시에 세계적으로 전 개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세력의 협력과 대립의 경 과, 그 영향도 직접적으로 받았다. 4년여에 걸친 신 간회운동은 이런 양상을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있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