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page

Special Theme • 신간회운동의 세계사적 의미 - 민주주의 민족운동으로서 신간회운동 31 국민참정권도 마찬가지였다. 근대 국민국가에서 국민참정권은 초기에는 부(富)를 가진 극소수에게만 납세액에 따라 제한선거권으로 부여되었다. 인구의 절대 다수는 선거권이 없었다. 때문에 선거권을 획득 하려는, 궁극적으로 보통선거권과 남녀평등 선거권 을 쟁취하려는 기나긴 투쟁이 전개되었다. 영국에서 는 1838년 5월 ‘인민헌장’ 공포를 전후해서 남성 보 통선거권과 인민의회 등을 요구하는 인민헌장운동, 곧 차티스트운동이 1848년까지 대규모 대중운동으 로 진행되었다. 입헌공화정과 근대 국민국가를 수립 하기 위해 프랑스와 독일을 비롯해 유럽에서는 1848 년 혁명이 전개되었다. 이들 운동들은 실패로 끝났 다. 그러나 혁명의 과정과 그에 대한 대응과정을 거 치면서 헌법제정과 의회개설에 의한 입헌주의 체제, 선거권의 확대와 보통선거권 등은 피할 수 없는 것이 되어갔다. 민중의 저항을 예방하기 위한 사회개혁입 법도 필요한 것으로 여겨졌다. 독일 3월혁명과 제국 헌법 옹호운동, 일본의 보통선거운동 등도 비슷한 대 표적 역사적 투쟁이자 경험이었다. 영국 인민헌장운동(차티스트운동). 프랑스 2월혁 명, 독일 3월혁명과 제국헌법 옹호운동, 일본의 보통 선거운동은 한편에서는 근대 국민국가의 국민으 로 인정받기 위한 민중의 선거권 확대와 보통선거권 획 득을 위한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 서는 운동 과정을 통해 언론 · 출판 · 집회 · 결사의 자유 등 제반 정치적 자유와 민주주의 권리를 획득하기 위 한 운동으로서, 또한 노동자 · 농민 등 민중의 경제사 회적 권리와 당면한 일상적 이해를 쟁취하기 위한 사 회개혁 및 민주주의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때문에 서 구와 일본 역사에서 이들 운동은 단순한 국민참정권 획득 운동이 아니라 근대 국민국가체제와 국민을 만 들고, 정착시킨 사회개혁운동이자 민주주의운동으 로 규정되고 기억되고 있다. 민주주의 민족운동으로서 신간회운동 식민지 조선의 민족운동은 일제로부터의 독립을 위한 항일운동의 성격과 함께, 근대 국민국가를 건설 하고 한국인이 제반 민주주의적 권리를 가진 국민으 로 성장하고 정착하기 위한 민주주의운동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이는 식민지라는 조건에서 해방 후로 미룰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흔히들 1920년대를 ‘문화정치의 시대’라고 하여, 조선어 신문과 각종 잡지 발행이 허용되고, 각종 사 프랑스 2월혁명 당시(1848.2.25) 파리시청을 장악한 시민군과  군중의 모습(한국일보 제공) 영국의 차티스트운동 장면(위키피디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