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page

52 2024년 1월 Special Theme    광복 제79주년 특집 부부 독립운동가의 삶을 다시 본다 있다. 3 · 1운동 직전인 1919년 2월 무렵 김사국은 경성 (京城)에 돌아와서 종로구 통의동 28번지에 머물면 서 한남수, 홍면희, 이규갑 등과 국민대회를 추진하 였다. 국민대회는 국내 13도의 대표로서 조직된 국 민대회를 통해 임시정부인 ‘한성정부’를 수립하려는 계획이었다. 이를 위해 1919년 4월 2일 인천 만국공 원에서 기독교, 천도교, 불교, 유림 대표, 일부 지역 대표 20여명이 모임을 갖기도 하였다. 김사국은 국 민대회의 실행 책임자였다. 그는 1919년 3월 보성전 문학교 출신 주익, 메이지대학 재학 중인 김유인, 보 성고보 재학중인 장채극 등과 국민대회 준비를 하였 다. 그들은 1919년 4월 23일 종로의 봉춘관 앞에서 13도 대표가 회합하여 국민대회를 열고 국민대회 간 판을 달고 임시정부를 선보하고 보신각 앞에서 노동 자 수천명을 모아 ‘공화만세’라고 쓰여진 깃발을 들 고 만세시위를 벌였다. 이때 김사국과 같이 활동한 김유인, 장채극 등은 이후 서울파 사회주의 독 립운 동의 주요 인물이 되었다. 이 ‘국민대회사건’으로 김사국은 이른 바 조선총 독부 「제령(制令)7호, 정치에 관한 범죄처벌의 건」 위 반 혐의로 체포되어 1919년 12월 19일 경성지방법 원에서 2년형을 선고받았다. 이에 불복하여 항소했 다. 그러나 1920년 3월 5일 경성복심법원에서 1년 6 개월이 확정되어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다. 그는 1920년 9월 6일 만기 출옥을 하였다. ‘서울파’의 탄생 - 서울청년회와 고려공산동맹의 조직 3 · 1운동 이후 1920년대부터 조선총독부는 ‘문화 정치’를 표방하며 식민지 조선에서도 언론, 출판, 집 회의 자유 등을 일정 부분 허용하였다. 이에 국내에 서 노동·농민·청년·여성 등 대중운동단체와 사상단 체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김사국(1892-1926)  (조선일보 1926.5.10) 박원희(1897-1928)  (전명혁, 『1920년대 한국사회주의운동연구』,  선인, 2006.) 김사민(1898-1950) (동아일보 1922.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