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page

34 2023년 12월 Special Theme   카이로선언 80주년 특집 해외 독립운동과 한국독립운동가들의 활약 것을 분명히 하고 있었다. 국민정부 외교부의 요청 으로 국방부 등 다른 부처들에서 제출한, 전후 한반 도 관련 정책 대안들을 보면, 전후 연합국 군대가 한 반도에 들어갈 때 중국군 중심으로 파병 주둔이 이 루어져야 하며 경제적 원조와 한국인 유학생 지원 등을 통하여 친중인사들이 육성되고 이들을 중심으 로 전후 한국의 정부가 만들어져야 한다는 등의 구 체적 계획이 모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장제스가 카 이로에서 ‘즉각 독립’을 제안한 이유 또한 전후 한국 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확대 내지 유지를 위한 친중 정부 수립을 전제로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전 직전 미국과 소련의 합의에 의하여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국군이 진주하였고 이어서 남북한에 소련과 미국 의 군정부가 만들어졌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동북 (만주)을 소련군이 점령함으로써 장제스 휘하 의 국 민당 군대가 곧 바로 중국 동북지역에 들어갈 수가 없었고, 뒤이어 소련군의 묵인과 방조 아래 중국공 산당 군대가 동북에 진출함으로써 국민당군대와 공 산당군대 사이의 내전, 곧 국공내전이 본격화되기에 이르렀다. 그런 상황에서 한반도에 대한 중국군대의 진주라는 장제스의 계획은 아예 이루어질 수가 없었 던 것이다. 해방 후 신탁통치 실시 문제와 김구의 반대, 피살, 남북분단의 고착 1945년 11월 미국 측의 강력한 견제 아래 개인자 격으로 귀환할 수밖에 없었던 김구를 비롯한 임시정 부 요인들에게 국내 정치 상황은 결코 만만치 않았 다. 이들에게 일차적인 시험대가 된 것은 1945년 12 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미·영·소 삼국 외상회담에서 전후 한국에 5년 간의 국제적 공동관리, 곧 신탁통 치를 실시하도록 결정한 것이었다. 신탁통치 결정이 알려졌을 때 좌우익을 비롯한 거의 모든 정치세력이 1946년 초 서울 시민들의 신탁통치 반대 시위 모습 1953년 타이완을 방문한 이승만 대통령(대통령기록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