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page

86 2023년 11월 테마가 있는 독립운동사 ① 순국 Focus   역사의 시선으로 영원히 지속될 것으로 여겨졌던 조국이 아니던가! 하지만 500여 년 이어온 조국은 더 이상 없었다. 조국이 망했는데 가문 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400년 지켜온 종가를 떠나야 했다. 1911년 1월 4일에 망해버린 조국을 떠나면서 시작된 석주의 망 명 일기 「서사록」은 100일 후인 4월 13일로 끝난다. 이제 우리는 그 마지막 부분을 읽고 있다.  오늘의 일기에서 필자의 눈을 사로잡은 내용을 미리 말하면 바로 “학문하는 사람들이 경계 삼아햐 한다”는 부분이다. 우리 는  조선조의 학문하는 사람들에 대해서 현실과는 등을 지고 이념적인 면에 치우친 부정적인 측면에서 많이 바라보고 있었다.  석 주는 평생을 학문을 하면서 살아온 사람이었다.  그렇다면 석주의 학문하는 사람들에 대한 견해는 어떠했을까? 부끄럽지만 ‘공부하는 사람’으로 살아온 필자 자신을 석주 는  일깨워주고 있었다. 필자의 눈을 뜨게 해준 석주의 가르침을 『월간 순국』 독자들과 공유하고자 한다. 선열일기 | 석주 이상룡의 서사록 ⑨ 서간도 이주 막바지에 독서 통해 이상사회 그리며  현실적 진로 사이에 번민 계속  중국 고전 『수원시화』 · 『경여필독』 읽으며 진로 모색 글  최진홍(월간 『순국』 편집위원) 당시 석주는 며칠 전(4월 1일)에 아들 준형이 빌려 온 책 『수원시화(隨園詩話)』와 『경여필독(耕餘必讀)』 을 읽고 있었다. 석주는 이 책들을 읽으면서 느낀 소 회를 「일기」에 적고 있었다. 이제 석주의 뛰어난 학문 관을 만나 보자. 첫째, 석주의 한창려(韓昌黎, 韓愈)와 소동파(蘇東 坡)에 대한 평가부터 살펴보자. 고대 중국 역사에서 폭군의 대명사는 바로 걸 · 주(桀 · 紂)였다. 하나라의 마 지막 왕인 걸임금은 탕왕(湯王)에게, 은나라의 마지 막 왕인 주임금은 문왕과 무왕 등에 의해 방벌(放伐) 되었다. 그런데 한창려(=한유)와 소동파 등은 탕왕과 문왕의 행위에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하였다. 이에 대 해서 석주는 탕왕과 문왕 등의 ‘혁명적 행위’를 옹 호 하고 있었다. 이어서 석주는 왕맹루(王孟樓)의 ‘높은 경지만을 지 향하여 중간의 과정을 무시하는 태도’를 비판하고 있 다. 그리고 섭횡산(葉橫山)을 통해서는 ‘남의 기세를 빌려 자신을 높이려는’ 비루한 태도를 비난하면서 학 문하는 사람들의 잘못된 태도를 경계하고 있었다. 둘째, 석주는 『경여필독』을 읽으면서 순자와 토마 스 홉스 그리고 묵자(墨子)를 정치사상적 관점에서 비교하고 있다. 순자보다는 홉스에게, 그리고 홉스보 다는 묵자에게 더 후한 점수를 주는 석주의 모습에서 우리는 그가 확실히 사회계약론에 충분한 안목을 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