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page

Special theme • 선교사와 그 자녀들의 대일전 참여와 한국독립운동 지원 49 (Mandalay)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한국에서 철수하거나 강제 귀환한 선교사의 자녀 들은 전시 중 정보기관에 근무하거나 군에 입대하 여 대일전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거의 모두가 한국에 서 태어나거나 어린 시절 한국에서 성장하여 한국어 와 한국 사정에 밝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유수 대학 에서 한국이나 일본에 관한 논문을 써서 학위를 받은 사람도 있었다. 한국독립운동 지원 1919년 3 · 1운동 때에 적극적으로 일본인의 가혹 한 식민정책을 비판하고, 한국인의 독립 노력을 지지 하였던 올리버 R. 에비슨(Oliver R. Avison, 魚丕信)은 선교사에서 은퇴하여 1935년 12월 미국으로 귀환하 였다. 그는 태평양전쟁이 일어나자 1942~1945년 기 독교인친한회(The Christian Friends of Korea)를 조직하여 실행 총무 겸 재무로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의 승인과 한국 독립운동을 지원할 것을 호소하는 활 동을 폈다. 1897년 5월 미북감리회 선교사를 사임하고 관 립 한성사범학교 교장으로 있으면서 월간 영문 잡지 『한국평론(The Korea Review)』을 창간 발행했던 호 머 B. 헐버트(Homer B. Hulbert, 訖法)도 한국독립 운동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그는 1942년 2월 27일부 터 3월 1일까지 3일동안 재미한족연합위원회와 한 미협회가 공동으로 미국 워싱턴의 라파예트호텔에 서 개최한 한인자유대회에 초청을 받고 참석하여, 일 제의 한국 침략과 만행을 규탄하고 미국이 한국의 독 립을 승인할 것을 촉구하는 연설을 하였다. 그는 이 한미협회에서 전국위원으로 활동하면서 1944년 1 월 20일, 21일에도 오하이오 애슐랜드(Ashland )에 서 개최된 한국승인대회(the Korean Recognition Conference)에 참석하여 일제의 압제에서 조속히 해방되기를 원하는 한국인의 희망에 대해서 강연하 고, 미국인들이 도울 방안을 의논하였다. 호머 헐버트(1863~1949).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한 사람”으로 칭송되고 있다. 캐나다 의사로 조선에 와서 근대의학의 기틀을 마련하고 독립 운동을 지원한 에비슨(1860~1956) 박사(연세의료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