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page

순국 역사기행 • 서울, 독립운동과 역사의 현장을 가다 ③ 111 지 5년간 살았다. 김광섭은 일제 강점기 중동중학교 영어교사로 근무하면서 학생들에게 민족의식 을 고취했다는 이유로 구속되어 2년형을 언도받고 옥살이를 하 기도 했다. 김광섭의 집 근처에는 한국 근대조각의 개척자 김복진 (1901~1940)의 집(성북동 175) 도 있었다. ‘대한민국 헌법의 아버지’ 조소앙 옛집 성북동 바로 옆 동소문동에는 ‘대한민국 헌법의 아버지’ 조소앙 (1887-1958)이 해방 이후 귀국하 여 6·25 한국전쟁 중 납북될 때까 지 살던 집(동소문동1가 51)이 비 록 주인은 바뀌었지만 지금도 옛 모습을 간직한 채 그대로 있다. 2019년 3·1운동 100주년에 즈음 해서는 조소앙 옛집 앞 버스정류 장은 ‘조소앙 활동터’라는 이름이 병기되었다. 조소앙은 국민주권론에 기반한 ‘대동단결선언’(1917)을 주도하였 고,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임시 헌장, 건국강령 등을 기초한 인물 이었다. 귀국 이후에는 분단에 반 대하면서 백범 김구, 우사 김규식 과 함께 남북협상을 위한 ‘제정당 사회단체연석회의’에 참여하였 고, 돌아온 후에는 남북분단을 반 대하며 5·10총선에 불참하였다. 분단이 현실이 되자 1950년 5·30 국회의원 선거에는 사회당을 조 직하여 이곳 성북에 출마하였다. 민국당의 조병옥과 대결하여 전 국 최다득표율(66.6%)로 당선되 었는데, 이는 분단과 전쟁에 반대 하는 국민적 열망이 반영된 결과 였다. 하지만 조소앙은 당선 한 달 만에 벌어진 6·25 한국전쟁 직후 납북되고 말았다. 조소앙은 좌 절 하지 않았고, 납북인사들을 조직 하여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를 만들어 죽는 날까지 평화통일운 동을 벌였다. 조소앙의 집 인근에는 이승만 의 돈암장도 있었고, 근처 돈암 동에는 해방 이후 안재홍과 조병 옥 등 유명 정치인이 많이 살았다. 서울 동작구에서 동작역사문화연구소 소장을 맡아 지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서울현충원 역사탐방을 비롯하여 독립운동과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중심으로 하는 근 현 대 역사탐방을 이끌고 있고, 「오마이뉴스」에 ‘동작 민주올레’를 연재하고 있다. 저서로 『현충원 역사산책』, 『동작구 근현대 역사산책』, 『낭만과 전설의 동작구』, 『동 작 민주올레』 등이 있다. 필자 김학규 조소앙 옛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