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page

Special theme • 관동대지진 때 도쿄에서의 조선인학살 29 1923년 관동대지진 때 도쿄에서의  조선인학살은 지진 첫날인 9월 1일 부터 발생했다. 이 무렵 조선인의 생 명은 일본인들의 임의 판단의 대상이 었다. 군인과 경찰, 자경단의 제멋대 로의 판단에 맡겨졌다. 1923년 관동 대지진 당시를 경험한 조선인에게 체 포는 곧 죽음이었다. 죽음을 피하기  위해서는 도망치는 것 밖에 없었다.  특히 도망가다가 체포되는 때는 타살 되었다. 자경단은 국가 권력이 되었 다. 저승사자 임무를 위임받은 것처 럼 행동했고, 일본 정부도 그들의 역 할을 방조했다.  도쿄에서의 조선인 희생자 수는 ‘재동 경(在東京) 이재(罹災)조선동포위문 반’조사(1,781명), ‘요시노 사쿠조’ 조 사(1,024명)를 통해 대략 추산하기도  한다. 1923년 관동대지진 때 조선인학살 1923년 9월 관동대지진 때 조선인 학살이 자행되었다. 유언비어를 통해 상황을 엄중하게 만든 일본 정부는 이른바 ‘불령(不逞)한 자’와 양 민을 판별하기 위해 ‘15엔 55전’의 발음을 기준으로 삼는 어처구니 없 는 일을 저질렀다. 일반적으로 작은 문제라도 발생하면 죄를 물을 경우 법적 절차에 따른다. 그것이 법치 국가의 보편적인 모습이다. 특히 사 람의 목숨과 관련해서는 수사 심문을 거칠 필요가 있었다. 조선인의 경 우도 총검 속이지만 필요했다. 일본 관헌은 왜곡 날조된 정보에 기초해 일부 ‘불령선인(不逞鮮人)’을 찾기 위해 신속하게 수색을 자행했다. 일본 관헌이 중심이 된 계엄군은 검문소를 설치했다. 실제로 군대의 수색 활 동에는 경찰이나 자경단이 공동보조를 취했던 사실이 알려져 있다.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은 9월 1일 일어났다. 9월 1일에 발 생한 지진으로 관동(關東)지방에서 20만 명이 넘는 이재민과 1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지진 발생 다음 날인 9월 2일부터 6일까지 대학살 이 자행되었고, 이후에도 부분적인 학살은 계속되었다. 당시 조사 결과 와 현재 연구 성과에 의하면, 6천 명 이상의 조선인과 650명 이상의 중 국인, 십여 명의 일본인 사회주의자들이 학살당한 사건이다. 조선인으 로 오인되어 학살된 오키나와 출신 일본인들도 있었다. 당시 독립신문사 사장 김승학(金承學)도 편지에 당시의 상황을 보고 느낀 분노를 적기했다. “가는 곳마다 풀무더기 같은 시체를 보면 가슴 이 아팠고 눈을 부릅뜬 채 불탄 시체를 만났을 때는 온몸이 떨렸다. 개 명 천지에 끝이 있다 한들 우리들의 처절한 원한은 언제나 풀릴 수 있 을런지. 이 원한을 풀어줄 이는 누구인가. 공산명월 야삼경 두견이 슬피 울면 7천 우리 동포의 고혼들이 마음속에 떠도는구나.” 문제는 지금까지 바뀌지 않은 일본 정부의 1923년 관동대지진 조선 인학살에 대한 자세이다. 일본 정부와 조선총독부는 조선인학살 관련 기사에 대해 보도 통제와 축소 왜곡을 자행했다. 실제로 조사 결과를 발 표하면서 사건을 은폐하고자 했다. 따라서 보도의 결과는 당시의 상황 과는 전혀 달랐다. 일본 정부도 당국자에 따라 다른 사실을 알렸다. 일 본 사법성 조사는 조선인 사망을 233명, 내무성 조사는 사망 231명,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