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page

Special Theme  관동대지진 100주년 특집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24 2023년 9월 민심 파악이라는 명목으로 ‘사찰’ 그러나 무엇보다도 조선총독부를 긴장시킨 것은 일본에서의 조선인학살이었다. 도쿄 등 대지진 현장 에서는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켰다, 우물에 독을 넣 었다, 강간하였다, 방화하였다” 등등의 유언비어가 떠돌았고, 이로 인해 경찰과 군, 자경단 등에 의해 수 많은 조선인이 학살되었다. 이는 식민정책에 미칠 영향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선인학살사건에 대해 조선총독부는 왜 곡된 정보를 제공하였다. 조선인 폭동설은 유언비어 였지만, 사실인 것처럼 담화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도 3 · 1운동과 같은 대규모의 민중시위를 사전에 막 기 위해 민심 파악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였다. 관동대지진 직전 식민지 조선에서는 사회주의 세 력, 국외에서 연합전선운동 등의 민족운동이 활발하 게 전개되었다. 총독부는 이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 우고 있던 긴장된 상황 속에서 ‘조선인학살 사건’이 일어난 것이었다. 때문에 총독부는 어느 때보다 도 식민지배의 안정성을 위해 ‘민정 사찰’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총독부는 언제부터 민심 동향을 파악하 였을까? 총독부는 관동대지진이 일어났다는 소식이 전해진 다음날, 즉 9월 2일부터 동향을 파악하기 시 작하였다. 이날 종로경찰서는 서울청년회와 천도교 청년당의 활동과 공산주의자, 지식유산계급자 등의 동향을 파악하여 경성지방법원에 보고하였다. 총독부의 민심 사찰은 각종 정보의 수집을 위해 경찰서, 헌병대, 법원, 군대, 관 등을 동원하여 전방위 적으로 이루어졌다. 민심 사찰의 대상은 다양했지만, 조선헌병대사령부의 경우 사회주의자, 배일자(排日 者), 친일 인사, 종교가, 교육가, 학생, 상공업자 등이 관동대지진에 대해 어떻게 ‘감상’하고 있는 지를 수 시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단순히 관동 대지진에 대한 감상만이 아니라, 일본의 패방 등 식 사이토 마코토 조선총독(1919.8.12~1927.4.4,  1929.8.17~1931.6.17 재임) 마루야마 쓰루키치 경무국장 (1922.6.18~1924.9.27 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