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page

순국시론 • 동양척식회사, 경제수탈의 뿌리였다 81 렀으며, 구식 군대인 무위영(武衛營)과 장어영(壯禦 營)의 군인들이 흥선대원군과 연결되면서 명성황후 (明成皇后)와 일본 세력의 배척운동을 펴나갔다. 이 때, 군인들이 일본 공사관으로 몰려가 불을 질 렀는데, 이에 따라 일본은 거류민 보호를 구실로 하 여 군대를 파견하여 제물포에 상륙하였다. 그리고, 임오군란으로 빚어진 조 · 일 간의 문제를 처리하기 위하여 그 해 8월 제물포조약을 체결하였는데, 이 때 조선은 일본이 입은 손해를 배상해야 했다. 일본은 공사관 경비를 구실로 1개 대대의 병력을 조선에 파 견하면서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1884년(고종 21년) 12월에는 김옥균 · 박영효 · 홍영 식 · 서광범 등 급진개화파를 중심으로 한 갑신정변 (甲申政變)은 국내의 정치상황을 한층 더 어렵게 만 들었다. 이 정변은 자주적 근대화를 부르짖으며 국 가의 주요정책을 서구식으로 바꾸기 위한 것이었지 만, ‘3일천하’(三日天下)로 막이 내려지면서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이 때, 조선 주재 일본공사 다케조에 신이치로(竹添進一郞)는 임오군란의 수습을 위하여 조선에 파견된 청(淸) 나라의 군대를 내몰고 조선에 대한 일본의 우월적 지위를 차지하기 위한 계획 으로 김옥균 등의 급진개화파를 지원하였는데, 정변이 실 패로 끝나게 되면서 양화진(楊花津) · 인천을 거쳐 일 본으로 도망하고 말았다. 이 때, 서울에 주둔한 일본 군대도 청 나라 군대에 의하여 쫓겨가는 형국이었다. 갑신정변의 실패는 청(淸) · 일(日) 양국의 조선에 대 한 주도권 싸움으로 변질되었다. 특히, 일본이 청 나 라에 밀려 그 세력이 위축되는 결과를 낳게 되면서 우리나라에 대하여 강경한 입장을 취하였다. 이노우 에 가오루(井上馨) 전권대신이 2개 대대병력과 7척 군함의 호위를 받으며 서울에 입성하였다. 이에 우 리 조정은 좌의정 김홍집(金弘集)을 전권대신으로 임 명하여 협상에 들어갔다. 이로써, 1885년(고종 22년) 1월 양국 전권대신 사이에 갑신정변의 사후처리를 위하여 한성조약(漢城條約)이 체결되었는데, 정변 때 피해를 입은 일본인의 유족과 부상자에 대한 보상과 소각된 일본 공사관의 신축을 위한 공사비를 우리나 라가 배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일본 의 조선에 대한 지위는 더욱 강화되는 결과를 가져 왔다.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당시 일본사절단의 일원이었던 가와다  키이치가 찍은 갑곶돈대의 모습(오마이뉴스 제공). 1884년 갑신정변이 일어났던 우정총국 건물(한국일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