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page

순국 스크랩 • ‘독립민주의 길’ 탐방북한산 둘레길에서 만난 독립유공자들 85 김창숙이 해방 후에는 고령의 나이에도 일제의 고문 으로 인한 불편한 몸을 마다하지 않고 분단ㆍ독재세 력에 맞서 평화통일과 민주주의 실현에 앞장서다 돌 아가셨다. 김창숙은 평생 시대의 요구를 외면하지 않고 시대의 불의에 맞서 독립, 민주, 통일의 대도를 온몸으로 헤쳐나간 ‘마지막 선비’라는 호칭이 결코 아깝지 않은 인물이다. 심산 김창숙의 생애를 돌아본 후 서울수유국가관 리묘역에 안장되어 있는 독립운동가의 묘소를 둘러 보니 임시정부요인 출신으로 이승만 독재정권에 맞 섰던 이시영과 신익희, 아나키스트 독립운동가로 이 승만 독재정권에 맞섰던 유림, 이승만독재정권에 맞 섰고 굴욕적 한일회담반대운동에 나섰던 신숙, 유신 독재정권에 맞섰던 양일동 등이 새롭게 다가오는 것 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고 하겠다. 일제에 맞선 우리의 독립운동은 자유, 평등, 연대 의 민주공화국을 목표로 한 미래지향적인 독립운동 이었기에 1919년 위대한 3 · 1운동의 열기를 흡수하 여 곧바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할 수 있었고, 1945년 8 · 15 광복 이후에는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분단에 반대하는 통일민족국가 수립과 독재에 반대 하는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 여생을 바 칠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한다. 묘소의 흔적이 남아있는 지청천 장군 묘소 터, 흔적조차 찾을 길 없는 강우규 의사의 묘소 터 필자는 이번 탐방에서 평소 찾지 못했던 이명룡의 묘소는 물론 신익희의 묘소와 신하균의 묘소도 찾아 참배한 것도 뿌듯한 일이었다. 기독교계를 대표하여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 로 참여했던 이명룡(1873-1956)의 묘는 근현대사 기념관 건너편에 있는 통일교육원 경내에 있다 보니 탐방객이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신익희와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신하균 부 자의 묘소도 다른 독립운동가의 묘소와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않다보니 접근이 어려운 편이다. 이준 열 사의 묘소와 신익희 · 신하균 부자의 묘소를 연결하는 길이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들 수밖에 없는 대목 이다. 지금은 국립서울현충원 임시정부요인묘역에 있는 이준 열사 묘역 통일교육원 안에 있는 이명룡 묘와 묘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