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page

38 2023년 4월 Special Theme   한국독립운동과 국제도시 한국독립운동의 세계적 전개  직하였다.          “대한의 국민 된 사람은 대한의 광복을 죽기로 맹 세하고 성취” 하고자 하였다. 성명회 선언서에는 각 지 한인 지도자 8,624명이 서명하였으며, 세계 만국 에 ‘한일병합 무효’ 선언서를 전달하였다. 한국과 수 교를 맺은 구미열강에게 러시아, 프랑스어로 번역되 어 발송되었다. 성명회는 각국의 신문사 등 유력한  언론기관에도 병합 무효를 선언하는 한인의 결의문 을 보내서 보도해 줄 것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그러 나 성명회는 일본의 항의를 받은 러시아에 의해 강 제로 해산 당했다. 주요 참여 인사였던 이범윤, 김좌 두, 이남기 등 7명은 ‘항일운동의 괴수들’이라 하여  이르쿠츠크로 추방되었다. 한국병합 기사를 게재한  한글신문 『대동공보』도 폐간되었다.  1910년대는 동아시아에서 일본이 세력 범위를 확 장해 나가던 시기였다. 그러나 러시아에서는 한인  독립운동가들이 지방 당국자들의 보호와 후원을 받 으며 현지의 일제에 반대하는 혁명 세력들과 적극 적인 연대 활동을 모색하였다. 러시아는 만주문제를  둘러싸고 일본과 1907년 제1차 협약, 1910년 제 2차  협약을 체결하여 외교적으로 가까워지기는 했지만,  1904년 러일전쟁패배 후 반일감정을 갖고 있던 다 수의 러시아인들은 한국독립운동에 우호적이었다.  1911년 12월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에서 러 시아 연흑룡주(沿黑龍州) 총독부의 공식 승인을 받 아 합법적인 한인 자치기구인 권업회(勸業會)가 창립 되었다. 러시아 한인사회를 바탕으로 집결한 망명한  한인 민족운동가들이 결성을 주도하였다. 이동휘, 이 동녕, 이상설, 김립, 이종호, 정재면, 홍범도, 오주혁,  윤해, 감하구 등을 비롯하여 러시아 국적을 가진 최 재형, 감학만, 홍병일, 김와실리 등이 참여하였다. 권 업회는 일본과의 마찰을 우려한 러시아 당국의 정책 을 존중하고 일본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표면적으 로는 실업과 교육의 권장과 증진을 표방하였다. 그 러나 실제로는 한국의 독립운동을 목표로 한 정치단 체였다.  권업회의 중앙본부는 신한촌에 두었으며 하바롭 스크를 비롯한 주요 도시에 지회와 분사무소(分事務 所)를 두었다. 권업회는 러시아 당국으로부터 한인  자치기관의 지위를 부여받아 한인들의 국적 취득 대 행, 러시아어 교육, 인구조사 등 행정 기능을 담당하 였다. 1911년 초에 연흑룡주 총독으로 부임한 곤닷 찌(Nikolay Lvovich Gondatti)는 권업회를 적극 후 원하였다. 권업회의 명예회장이었던 곤닷찌는 1912 년 2월 23일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3천여 명 이 운집한 환영식에서 한인들의 사회·교육·문화적  활동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하였다. 그는 “한국을 사 랑하지 않는 한국인은 러시아에서도 환영받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여 한인들을 크게 감동시켰다.  성명회 취지서(독립기념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