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page

Special Theme   한국독립운동과 국제도시 한국독립운동의 세계적 전개   22 2023년 4월 립운동 역량이 재정비되어 독립전쟁을 결행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어서 박은식과 신규식 등은 1915년 상하이 프 랑스 조계지에 ‘대동보국단’을 조직해 국권을 회복할  새로운 방도를 모색했다. 그리고 1917년 2월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피압박민족의 해방운동이 무르익 자, 12월 상하이에 있는 독립운동가 신규식, 박은식,  신채호, 조소앙 등 14명은 「대동단결선언」을 발표하 여 국민주권론을 표방하고 임시정부 수립을 촉구했 다. ‘대동단결선언’은 3 · 1운동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 부가 수립될 수 있는 이론적 기틀이 되었다. 그 뒤 1918년 11월 상하이에서 여운형이 주도하 는 ‘신한청년당’이 결성되었다. 신한청년당은 미국  등 구미 국가를 상대로 외교적 활동을 전개하고자  1919년 1월 김규식을 파리강화회의에 파견하 였고,  3 · 1 운동이 발생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베이징의 ‘반임정’운동 국내에서 3 · 1운동이 일어나자 각지에 활동하는  독립운동가 대표자들이 상하이에 모여 4월 11일 프 랑스 조계지에서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회의를 열었 다. 그리고 이 회의에서 임시의정원을 구성하고 대 한민국이라는 국호와 민주공화제를 표방하는 임시 헌장 10개조를 제정·공포한 뒤, 국무총리를 수반으 로 하는 6부의 국무원을 구성한다는 합의가 이뤄졌 다. 이어 4월 11일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 고 9월 한성정부의 법통을 인정하고 정부의 위치는  「대동단결선언」(독립기념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