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page

테마가 있는 독립운동사 순국 Focus   역사의 시선으로 94 2023년 3월 400여년 종가 임청각 이후 석주에 이르기까지 임 청각은 400여 년을 한 곳에서 지켜온 삼불차(三不借)의 유서 깊은 종가였다. 삼불차란 아 들, 학문, 그리고 재산을 다른 곳에서 빌리지 않는다는 의미 이다. 석주는 일기에서 자신 이 누리던 당시의 상황을 다 음과 같이 묘사했다. “좋은 항아리의 익은 술에  동기 형제간의 창화가 온 정을 나누기에 넉넉하고, 맑은 창가에서 글 을 읽고, 흐르는 물가에서 바둑을 두며, 한가 히 노닐기에 알맞다. 모두 고향에서 누릴 수  있는 즐거움이요, 객지에는 없는 일이다.” 그런데 석주는 지금 ‘전답과 가택을 헌신짝처럼 버리고 일가친척을 길가는 사람처럼 아무 상관없는 사람으로 치부하며, 신산(辛酸)한 흉회를 억지로 참 고 스스로 궁벽하고 황폐한 간도 땅[窮島絶澨之間]에 투신하려’ 결심을 한 것이다. 그 이유 역시 석주의 일 기가 설명해주고 있다. “아아, 나는 구차히 목숨을 훔치려는 부류가  아니다. 을사년(1905) 겨울에 가야산으로  가서 암혈(巖穴)에서 거의(擧義) 모병(募兵) 하였는데, 수년 만에 1만 5천금의 자산을  소비하였다. 기유년(1909) 봄에는 경무서 에서 곤욕을 당하며 구금되어 지낸 것이 수 십 일 이었다. 나와서 몇몇 동지들과 더불어  본 군에 협회를 조직하였으니, 대개 여러 번  경영한 일에 여러 번 실패를 맛보았다.” 1905년 11월 17일 을사늑약 이후, 석주는 12월에 1만 5천금을 마련하였다. 그것을 자본으로 삼아 험 준한 가야산에 기지를 설치하여 무력을 비축할 계책 으로 삼았었는데 안타깝게도 실패하고 말았다. 또한 석주의 지휘를 받던 신돌석 등의 의병장들이 차례로 죽임을 당하는 일이 일어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석주는 1909년 2월에 안동경찰 서에 구인되어 누차 고문을 받게 된다. 그러자 안동 시민들이 동요하여, 경찰서 앞에서 부르짖으며 곡을 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가 되어 석주는 풀려나게 되었 다. 석방된 석주는 3월에 대한협회 안동지회를 조직 하였고, 그 조직의 회장이 되었다. 안동지회는 몇 달 임청각 군자정(한국관광공사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