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page

12 2023년 3월 Column   편집위원 컬럼 작은 소리 큰 울림 ② 독립이 절대 필요하며, 셋째 민족자결에 의하고 자 주독립의 정신에 입각한 정의와 인도의 운동임을 강 조하여야 한다는 취지를 주었다. 최남선은 천도교측 의 취지를 독립선언서에 최대한 수용하고자 하였지 만, 그것을 모두 수용한 것은 아니고 자신의 논리와  사상을 담아 선언서를 집필하였다. 3 · 1독립선언서는  천도교측의 취지와 최남선의 논리와 사상을 통해 문 자로 표현되었다. 최남선은 한국 역사의 근원에서부 터 독립선언의 정당성을 끌어내고, 일제 식민지배의  구체적인 폭정과 만행을 열거하며 식민지배의 부당 성과 독립의 정당성을 천명하고자 하였다. 독립선언서는 크게 세 가지의 중요한 정신과 논리 로 작성되었다. 첫째는 우리 민족이 독립을 선언하는  근거는 ‘양심’의 발로라는 것이다. 한국민의 독립 선 언은 인류적 양심, 민족적 양심, 시대적 양심에 따라  정당하게 독립을 선언하고, 우리 민족은 이같은 양심 에 따라 독립이 되어야만 한다고 하였다. 두 번째로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정의와 인도’의 정신에 따라  독립을 선언하였다는 것이다. 제국주의의 반인륜적 이고 반인도적인 침략과 식민지배는 ‘정의와 인도’의  정신에 맞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독립선언서에서는  ‘정의와 인도’ 정신에 따라, 독립을 선언한 것이라고  하였다. 세 번째로 독립선언서는 반침략 평화사상에  근거하고 있다. 우리 민족이 독립을 선언한 배경에는  제국주의 국가의 약소 국가와 민족에 대한 침략과  식민지 지배를 종식시키고, 인류의 정의와 양심, 도 덕적 책무를 가진 세계평화를 갈망하였기 때문이다.  3 · 1독립선언서에는 동양평화와 세계평화를 이루기  위해 한국 독립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국의 독립 없이는 세계평화가 있을 수 없고, 한국  독립과 세계평화는 직접적으로 연계된 것이지 별도 의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최남선은 3 · 1독립선언서에 지금까지 있지 않은  새로운 사상이나 이념을 담고 있거나 새로 고안된  것이 아니고, 당시 한국인의 민족 독립에 대한 보편 적인 생각과 요구를 선언서에 담으려고 했다. 그렇지 만 독립선언서는 일제의 폭압적 식민지 지배를 당하 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하게 민족 독립을 요구하 지 않았고, 추상적이고 설득조의 문장으로 일제 식민 지배의 부당성만을 지적하였다. 이처럼 독립선언서 는 일제에 대해 독립을 요구하였지만 독립과 동시에  새로운 국가에 대한 계획이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도 사실이다. 보성사에서 인쇄된 3 · 1독립선언서 3 · 1독립선언서는 1919년 2월 초순경 천도교측 최 린이 당대 최고의 문장가인 최남선에게 의뢰하여, 2 월 15일 전후에 집필이 완료되어 최린에게 전달되었 다. 3 · 1독립선 언서 원고는  최린이 이를  필사한 사본 을 만들어 주 위의 인사들 에게 보여주 었다. 그중에  필사한 한 부 는 최창식이  소지하고 중 국 상하이로  보성사에서 인쇄된 『조선독립신문』 제1호 (1919년 3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