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page

Special theme  • ‘붓’과 ‘검’: 「조선혁명선언」 전야 신채호의 내면 45 쉰기념관에는 루쉰서방(鲁 迅 书 房)과 더불어 리다자 오가 루쉰과 의논해서 세운 지성중학(志成中学 , 35 중의 전신) 건물도 이곳으로 옮겨져 있으며, 루쉰과  리다자오가 앉아 정겹게 차담을 하는 모습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단재가 리다자오에게 보낸 편지 리다자오는 1918년 8월 북대홍루(北大紅樓: 东 城 区 五四大街29号 )가 낙성되어 1층에 들어선 도서관 의 주임을 맡았는데, 그 당시(1918.8-1919.3) 마오 쩌뚱(毛擇東)이 도서관 조교로 근무하였다. 리다자오 는 1920년 7월 도서관 주임과 겸직으로 교수가 되어  정치, 사학도 강의하였다. 1922년 가을 「단재가 리다 자오에게 쓴 편지」가 남아 있는데, 단재가 처한 처절 한 궁핍과 민족운동의 좌절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슬 프고도 중요한 편지이다.  단재는 9살 연하의 리다자오에게 “학계에 영수로”  “항상 사모하여 마지않았습니다”라고 깍듯한 존경을  표하고, “패군지장-망국지민으로 이미 세상에서 버 림을 받은 지 오랜” “저는” “십 년 간을 정처 없이 방 랑하여” “뱁새[鷦鷯] 같이 잠자고 두더지[ 鼴 鼠] 같이  마시면서 구차히 쇠잔한 목숨을 보전”하고 있다고  소개하였다([  ]는 원문, 이하 동일).  이어서 자신의 무장투쟁 지향의 항일운동이 실패 하였음을 통절하게 언급하였다. “분연히 일어나 붓 을 내던지고 몇몇 열사와 함께 나라를 위하여 죽음 으로써 적과 싸우기를 기도하였”으나 모두 실패하 고, “어느덧 천한 나이 사십을 지났습니다.”며 자신의  인생을, ‘나이 50이 되어서 지난 49년의 삶이 잘못  되었음을 알았다’는 거백옥[遽伯玉]의 고사에 비유하 였다. 그 핵심은 그간의 “무장 전투”가 자신과 같 은  “글쟁이[儒生]에게 맞는 일[能事]”이 아니라는 것이었 다. 이제 그는 아래 『시경』의 시를 외며 “하염없는 눈 물이 주르르” 흘러내린다고 읍소하였다.  수리도 솔개도 아닌데 어찌 하늘에 날아오르고/ 잉 어도 다랑어도 아닌데 어찌 연못에 들어가 숨겠는가. 하늘도 땅도 사방이 막혀있다고 한탄하면서, 단재 는 유일한 활로로 이제 ‘검’을 버리고 다시 ‘붓’을 들 어 조선사 연구를 하고자 하나, “객지에서 주머니[囊 橐]가 빈약”하니 자료 열람에 도움을 달라고 부탁하 였다. 그러나 단재는 이 절절한 사연의 편지를 보내 지 않았다. 자세한 연유는 알 수 없으나 리다자오가  1922년 12월 총장판공실 비서로 전보되었기 때문인  듯하다. 바로 이 12월에 김원봉이 찾아와 의열단 선 언문을 부탁했다.  1922년 가을 단재의 상황은 이처럼 참담했다. 마 침 같은 시기[壬戌, 1922]에 지은 「가을밤 회포를 적 음[秋夜述懷]」이라는 시가 남아 있다. 여기서도 ‘검’을  버리고 ‘붓’으로 돌아온 회한을 노래하고 있다.   외로운 등불 가물가물 내 시름과 같이하며/ 일편단 심 다 태워도 내 맘대로 되지 않네// 군대를 얻지 못 해 나라 운명 못 돌리고/ 무디어진 붓을 들고 청구 역 사 끄적이네// 이역 방랑 십년, 귀밑머리에 서리 내렸 고/ 병들어 누운 베갯머리, 깊은 밤 달빛만 누각을 비 추네// 고향의 농어 회 맛있다 하지 마라/ 고향에는 지금 배를 맬 땅도 없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