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page

이제는 잊혀가는 ‘정월대보름’이지만 식구들과 함께 달맞이하고, 서로 행복을 빌어보 면 좋을 일이다. 고통받는 이웃들도 함께 달불 돌리며, 웃는 그런 날이면 좋겠다. 글  김영조(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 소장) 휘영청 둥근 달에 한 해의 소원을 비는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세시풍속 순국 Inside  길 따라 얼 따라 우리문화 사랑방 112 2023년 2월 하늘에 보름달이 휘영청 떠 있 다. 구름 타고 천천히 운명을 항해 하는 저 보름달을 본다. 뒷동산에 올라 너그럽고 은은한 달빛에 온 몸을 맡긴 채 지난 어린 추억을 더 듬는다. 음력 정월에는 설날 말고 도 명절로 지내는 정월대보름(음 력 1월 15일)이 있다. 정월대보름의 달은 한해 가운 데 달의 크기가 가장 크다고 한다. 가장 작은 때에 견줘 무려 14%나 커 보인다는데 그것은 달이 지구 에 가장 가깝게 다가서기 때문이 다. 조선 후기에 펴낸 《동국세시 기(東國歲時記)》에는 ‘초저녁에 횃 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 달맞이 하는 것을 ‘망월(望月)’이라 하며, 먼저 달을 보는 사람에게 행운이 온다.’라고 쓰여 있다. 우리나라는 농사를 기본으로 음력을 사용하는 전통사회였다. 또 음양사상(陰陽思想)에 따르면 해를 ‘양(陽)’이라 하여 남성으로 인격화하고, 달은 ‘음(陰)’이라 하 여 여성으로 본다. 달의 상징적 구 조를 풀어 보면, 달-여신-땅으로 표상되며,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 모신(地母神)으로 출산하는 힘을 가진다. 이와 같은 우리 문화의 상 징적인 측면에서 보면 달은 풍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