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page

2023년8월31일 목요일 2 (제200호) 제 의 뱚■숭덕전제향시제기와제수 숭덕전의제복(祭服),사진왼쪽은조복으로지금까지제향에입었으나금번 문화재심의위원의지적에따라오른쪽제복으로바뀌었다.( 사진오른쪽지난 춘향초헌관박광수경기도본부회장) 조선시대 문무백관들이 종묘(宗廟), 사직(社稷), 문묘(文廟) 에 제사 지낼 때 착용하는 예복(禮服)이다. 제복은 청초의(靑 힁 衣))와 적초상(赤 힁 裳)에 백초중단(白 힁 中單) 백삼을 입고, 의 (衣)인 겉옷 흑삼(黑衫)을 입고 방심곡령(方心曲領)을 목에 걸 며 요식(腰飾, 허리에 꾸미는)으로서 후수(後綬), 대(帶), 패옥 (佩玉), 폐슬(蔽膝)을 늘이고 발에는 행전(行纏), 말(襪, 버선), 이(履, 신발)을 착용하고 손에 홀(笏)을 든다. 품계에 따라 양관 (梁冠)의 양(梁)의 숫자와 패옥 및 대의 재료,후수 문양 등에 차 이가있다. 제복에는 양관(梁冠), 조복(朝服)에는 금관을 사용하는데 도 금(鍍金)에흑칠(黑漆)한것의차일명확하게구분하여야한다. △양관(梁冠) - 제복에 착용하는 관으로 앞머리에서부터 솟아 올라 정수리에 닿는 종선(縱線)을 량(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 이다. 품계에 따라 량(梁)의 수(數)는 천자국(天子國)의 기준에 의거하여 1품관(一品官)은 7량,2품관은 6량,3품관은 5량,4품관 은4량,5품관은3량,6품관~7품관은2량,8품관이하는1량으로정 하며뿔로만든비녀를착용한다. △수(繡)-수는제복의뒤에두르는것인데천자국의예에따라 5품이상은황(黃),녹(綠),적(赤),자(紫)의네가지 색실을짜서 만든다.2품이상은운봉(雲鳳)을만들고3품과4품은운학(雲鶴) 을 만들며,5품은 반조(盤雕,독수리),6품과 7품은 연작(練鵲,때 까치), 8품이하는 계칙을 만든다. 화금(花錦) 밑에 푸른 실로 짠 망(網)을달고쌍으로된환(環)을단다. △홀(笏)-관리들이손에쥐던것으로옥(玉),상아(象牙),괴목 (槐木)등으로 만드는데 길이는 1척(尺)가량 폭은 두 치로 얇게 하여 관원들이 잊지 않으려 기록하던 기구였으나 의례용으로 제 도화되었다.천자는구옥(球玉)으로제후는상아로,대부는대나 무로 하였으나 통상 5품 이상은 상아(象牙), 6품 이하는 나무를 써서만든다. △중단(中單)-중단은 회색 비단으로 만든다.푸른 깃(靑領)을 소매끝,옷자락끝,뒷깃에댄다. △상(裳)-상은붉은색비단으로만든다.또한폭은7폭으로만 드는데그앞과뒤가달라서앞은세폭이며,뒤는네폭이다. △패(佩)-패는두개인데위에는금갈고리로형(衡)을만든다. 다음에 중형(中衡)이 있고 가운데는 거우(拒瑀)가 있고, 아래에 는 쌍황(雙璜)이 충아와 쌍황 사이에 있는데 약옥주(藥玉珠)로 뚫는다. △방심곡령(方心曲領)- 제복의가슴정면에달린것으로배색 비단으로만들며끈이둘인데왼쪽은녹색(綠色),오른쪽은홍색 (紅色)으로하단에네모난방심을달아서가슴위에드리운것이 다.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가 난 천원지방(天圓地方)을 상징하는 것이다. △각대(角帶)- 각대는 품계는 나타내어 품대(品帶), 관대(官 帶), 각대(角帶)라고도 한다. 1품은 옥(玉), 2품은 물소뿔, 3품부 터5품까지는금,6품과7품은은,8품이하는동을쓴다.각대의착 용방법은제복의양쪽겨드랑이아래고리에끼워서넓은장식이 앞가슴에오도록하여붙이고뒤쪽은허리에내려오도록한다. △말(襪)-버선을뜻하며백포(白布)로만든다. △이(履) - 제화(祭靴)이며 일반 혜(鞋)와 같은 형태이나 운두 (울의높이)가낮으며가장자리에힌선을띄었다.벗겨지지않도 록 양쪽에 기( 덖 )라는 들메끈이 달려 있어 이를 발등에 묶는다. 흑피(黑皮)로만든다. △폐슬(蔽膝)-므릎 가리개로서 상(裳)위에 늘이는 장방형(長 方形)의천으로상(裳)의색과같은색으로만들고사방에선( )을 둘러 허리 아래에 늘이게 되어 있으며 요즈음에는 백삼(白 衫)에부탁되어있다.붉은색비단으로만든다. △대대(大帶)-큰띠로붉은색비단과흰색비단을합쳐서꿰맨 다.요즈음에는후수와대대가붙어있다. △의(衣) - 의는 맨 겉에 입는 옷으로 검은색 비단으로 만든다. 원래는청라(靑羅)로만들었으나현재는검을색으로만든다. △행전(行纏)-바지를입은후행전을정강이에감아무릎아래 에묶는다.도포를입을때도반드시행전을친다. 버선을신고,바지,저고리를입고두루마기를입는다. 1.제복을착용하기전에바지위에행전을맨다. 2.제복용신발인흑피리(黑皮履)의끈은발등에서묶는다. 3.상(裳)이 부착된 중단(中單)을 입는다.상이 분리된 옷은 중 단을 입고 중단 위에 상을 두른다.[전삼후사(前三後四)로 폭이 좁은3폭을앞으로하고넓은4폭을뒤로한다.] 4. 흑삼(黑衫)인 의(衣)를 입는다.(현제의 의는 방심곡령이 흑 삼의 직령(直領)깃과 단령(團領) 형태이며 폐슬과 홀 주머니가 앞길에부착되어있다.) 5, 대대(大帶)에 부착되어 있는 수(綏)를 흑삼 위에 수가 뒤로 가게 두르고 흑삼의 양 옆 트임 아래로 대대의 끈을 넣어 앞자락 안쪽에서묶으면끈은앞길에가려진다. 신라 시조묘인 숭덕전의 제향은 영정조대에 정비되었다.특히 숭덕전의제향은다른시조묘의경우와마찬가지로2월과8월상 순의좋은날을길일로선택하여거행되었다.특히정조대에는매 년각신이봄과가을에향과축문과예물을가지고내려가제사를 지내는것이항례가되었다. 이와같은숭덕전의제향시사용된제기와제수에대해구체적 으로확인할수있는사료가정조16년(1792)의기록이다.당시각 신 이만수(李晩秀)가 전국 각지의 시조묘와 왕릉에 제사를 지낼 때의별단을통해숭덕전제향때의제물과제기의종별을확인할 수 있다. 곧 숭덕전의 제물은 동지의 제사를 전례로 삼아 장만하 는데, 벼[稻], 기장[梁], 개암[榛], 밤[栗], 희생[牲], 포[ ], 김 치[菹], 젓갈[ ] 따위였다. 이와 함께 제기는 제상 2개,향상 1 개, 촛대 2개, 보와 궤 각각 2개, 목두 6개, 죽변 10개, 작 6개이며, 술독이 있고, 술잔[尊] 1개와 국자 1개이다. 곧 숭덕전의 제향은 팔변(八 븅 ),팔두(八豆)의제기를사용하고있었던것이다. 당시 논의를 통해 숭덕전의 춘추의 절사(節祀)에 들어가는 각 종제물이나제수등의비용도국가에서위전을마련하고군역을 면제한 댓가로 지불하였음을 알 수 있다.곧 춘추의 제향 때에 들 어가는벼가28섬이고,돈이104냥이고,남은숫자는벼가14섬,돈 이46냥이었던것이다.이에숭덕전에서는제수를본부에서회감 (會減)하고,위토전에서나오는것과능졸에게군역을면제한대 가로받은돈을전량비축해놓을수없으니,제각,제수를수리개 조하는 등의 절목과 능감, 능직에게 주는 봉급 따위는 모두 공비 를쓰지않도록하였다.곧숭덕전의복호(復戶)는22결이었다. 이러한 전례를 따라 현재 숭덕전 제향 때에는 팔변,팔두를 기 본으로삼아신실안쪽가장중앙에는신위를놓고,그앞제상위 에는 제수를 제기에 담아 진설하고 있다. 신위에 가까운 첫째 줄 에는동서로변8기와두8기를놓는다.변에는녹포,개암,전어고 기, 찰떡을, 두에는 메밀떡, 소고기 저린 것, 미나리, 돈배기를 놓 는다.둘째 줄에는 동서로 보와 궤를 놓고,여기에 찐쌀과 기장쌀 을담는다.그리고연밥과밤,노루회와대죽순을놓는다.셋째줄 에는 보궤에 찰기장쌀과 피쌀을 담고,나머지에는 말밤,대추,소 금,정구지,생무,토끼고기저린것을놓는다.넷째줄에는양1마 리와돼지고기1마리를희생을놓고그옆에냉수를놓는다.다섯 째 줄에는 폐로 모시 20자를 비 속에 넣어 진설한다.여섯째 줄에 는작3개를받침위에올려놓는다.제상앞에는향로1쌍을놓고 그좌우로촛대1쌍을배치한다.위의사항을정리하면다음의표 와 같다. 이와 같은 숭덕전 제기의 종별은 정조 16년(1792)의 기록에 의 해서이다. 이를 통해 숭덕전은 시조묘의 예에 의해 팔변, 팔두의 예를갖추도록하였다.이에제기의종별은제상2개,향상1개,촛 대 2개,보와 궤 각각 2개,목두 6개,죽변 10개,작 6개,술독,술잔 [尊]1개,국자 1개 등이었다.현행 숭덕전 제향의 진설도를 살펴 보면다음의그림과같다. 한편 숭덕전에서 사용하는 제기의 종별과 제수의 내용을 간단 히살펴보면다음과같다. 우선 변은 대나무로 만들며, 마른 제수를 담는 제기이다. 여기 에는 8가지 제수를 담는다.개암(은행으로 대용함).마름(연뿌리 로 대용함), 가시연밥의 열매, 사슴고기포(쇠고기포로 대용), 생 밤,마른대추,말린물고기포(대구포),마른소금이그것이다. 두는나무로만들며젖은제수를담는제기이다.여기에는미나 리4치로잘라묶은것,토끼고기1마리,죽순4치로잘라묶은것, 물고기젓(조기를소금에절여만든돈배기),부추4치크기로잘 라묶은것,쇠고기장조림,무를4치크기로깎뚝썬것,노루고기 절인것(쇠고기로대용)이다. 보는 놋그릇으로 만들며 벼(쌀로 대용하나 술밥으로 찐 것)와 기장(차좁쌀로대용하며,술밥처럼찐것)를담는다.궤는놋그릇 으로 만들며 수수(술밥 정도로 찐 것)와 피(좁쌀로 대용하며 술 밥 정도로 찐 것)를 담는다. 조(도마)에나무로만들며,2가지희생을담는다. 희생은 돼지고기와 양고기(염소고기)이다. 갑은 나무로 만들 며 희생을 담아 조 위에 올려 놓는다. 작은유기로만든술잔이다. 점은 유기로 만들며 술잔 받침이다. 희준은 유기로 소 형태로 만드는 술 단지이며, 예제를 담는다. 상준은 유기로 코끼리 형태 로 만드는 술단지이며, 앙제를 담는다. 산뢰는 유기로 만들며 청 주를 담는 술 단지이다.멱은 술단지를 덮는 덮개이며,가는 칡베 로만들며,구름과우레를그린다. 용작은 유기로 만들며, 술을 뜨는 국자이고, 손잡이 끝이 용머 리 모양으로 되어 있다. 향로는 유기로 만들며 향을 사르는 제기 로,다리는삼발이며양옆에기둥이두개있다.향합은유기로만 든 목향을 담는 제기이다. 형은 유기로 만든 화갱을 담는 제기로 발이 세 개다. 등은도자기로만들며대갱을담는제기이고모양은두와같다. 모혈반은유기로만들며모혈을받아서올리는제기이다.준뢰는 제향때에술을담는구리로만든술통이다. 가.븅 (변):(대나무로만든마른제수를담는제기)에담은제수8 가지 1.진자(榛子):개암(개암나무의열매.도토리와비슷하게생겼 으며, 껍데기는 단단하고 노르스름하다. 맛은 밤과 비슷하나 더 고소하다.)=은행으로대용함. 2.능인(菱仁):마름(마름과에속한한해살이풀.연못이나늪에 서자란다. 뿌리는진흙속에박고줄기는물위에까지가늘고길게뻗는다. 잎은줄기꼭대기에뭉쳐나고삼각형이며,잎자루에공기가들어 있는 부낭(浮囊)이 있어서 물위에 뜬다. 여름에 흰 꽃이 피며 마 름모꼴의열매가열리는데이것을까서먹는다.주로방죽에자생 한다.)=연뿌리로대용함. 3.감인( 괵 仁):가시연밥의열매(연밥) 4.녹포(鹿脯):사슴고기포(쇠고기포로대용함) 5.율황(栗黃):생밤그대로사용 6.건조(乾棗):마른대추. 7.어수(魚수):말린물고기,물고기포(대구포). 8.형염(型임 ):원래는 소금을 뭉쳐서 호랑이 형태로 만들었으 나지금은마른소금을그대로사용함. 나.두(豆):(나무로만든젖은제수를담은제기)에담은제수8가 지 1. 근저(芹 ):미나리를 아래와 위를 잘라 4치(寸)크기로 만 든다음실로묶어서진설한다. 2. 토해(兎 ) : 토끼고기(토끼를 잡아 껍질을 벗기고 온마리 그대로사용) 3. 순저(荀 ):죽순을잘라위를4치(寸)크기로만든다음실 로묶어진설(도라지로대용함). 4. 어해(魚 ):물고기젖(조기를소금에절여서만듬) 5. 구저( 놀 ) : 부추를 아래 위를 잘라 4치(寸) 크기로 만든다 음 실로 묶어 진설. 6.담해( ):잘게썬쇠고기를간장에넣고조린반찬. 7. 청저(菁 ):무를4치크기로깍두기형태로썰어진설. 8.녹해(鹿 ):노루고기를말린뒤에그것을얇게썰어가지고 누룩및소금물을섞어서좋은술에담가서항아리속에백일동안 두어만듦(현재는쇠고기로대용함). 다.보( 빠 )에담는제수두가지 1.도(稻):벼(쌀로대용하나술밥정도로찐다.) 2.양(梁):수수(차좁쌀로대용하나술밥정도로찐다.) 라.궤( 눗 )에담는제수2가지 1.서(黍):기장쌀로사용(술밥정도로찐다.) 2.직(稷):피(좁쌀로대용,술밥정도로찐다.) 마.조(俎,도마)에담는희생(犧牲)2가지 1.시성(豕腥):돼지고기(온마리를사용). 2.양성(羊腥):양고기(염소고기.온마리를사용). 바.제주(祭酒):찹쌀과누룩으로만들어찌거기가없이맑을술 로 떠서 사용. 사.백병(白餠):흰절병. 아.흑병(黑餠):쑥을넣어만든절병 숭덕전편 숭덕전제례가지난달경상북도지정문화재로지정되면서 우리 종친들의 오랜 숙원이 해결되었다. 숭덕전의 제례는 세종11년부터지냈음을알수있다.경상도경주븮여지도서 븯에의하면뷺赫居世廟관아의남쪽5리월남리에있다.조선 세종11년(1429)에사당을세우고매년봄븡가을인2월과8월 에향과축문및폐백을내려제사를올리게했다.新增경종 계묘년(1723.경종3)에나라에서‘숭덕전’이라는 사당의이 름을내려주고,參奉1명,假官1명을두었다.영조임신년(17 52,영조28)에나라의명령으로신도비를세웠다.뷻라고전해 진다. 한편이번문화재지정심의에서제복이바뀌어졌음을알수 있다.예전의 제복은 초헌관은 청삼을 입고 적초의를 아헌 관과 종헌관은 백삼을 입고 청초의를 입고 족화를 신는 조 복(朝服)을착용하였으나이번제복은백삼을입고겉옷의 (衣)는흑삼에방심곡령을목에거는제복(祭服)을입어양관 (梁冠)을통해초헌아헌종헌을구분하고있어바뀐제복을 알아보고더불어제수에대해서도함께소개해본다. 제복(祭服) 제복착용법 제복(祭服)의착용법(着用法) 숭덕전의제향과진설 제기 품명 대용품 비고 변 녹포:사슴고기말린것 소고기 길이21㎝,넓이7㎝,두께1㎝ 진자:개암 은행 1되(잣으로대용) 어수:물고기포 조기 1손(대구포로대용) 강인:연밥 잣 반되(호두로대용) 황률:피밤 밤 피밤 능인:말밤 호두 은행대용 건조:마른대추 대추 마른대추 형염:굵은소금 소금 두 탐해:짐승고기절인것 소고기 가로15㎝,세로15㎝,두께7㎝,돼지고기 장조림 근저:미나리 미나리 어해:돈배기 돈배기 탐해와같은크기 녹해:노루회 소고기 소고기절인것을대용 순저:대죽순 대죽순 구저:정구지 부추 청저:생무 생무 토해:토끼고기말린것 토끼고기 털벗긴것1마리 보 도쌀불린것 쌀불린것 1되 양:찰기장쌀 차조 1되 궤 서:기장쌀 메밀 2되:빻은것 직:피쌀 청좁쌀 1되 백병:쌀떡 쌀가루 1되,약과크기 흑병:메밀떡 메밀 2되:빻음 조,갑 양성:양1마리 양 수컷큰것1마리 시성:돼지1마리 돼지 20관전후수퇘지 준 청주 술 현주(냉수)1병 폐비 폐:모시 모시 12자 작,점 술잔 3벌(음복잔1벌) 촛대 초 1쌍 향로 향 1쌍 향합 향 1 숭덕전의殿享(전향)祭需(제수)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