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page

충북 독립운동 사적지 기초조사 보고서 52 운동의 맥락이 전승된 것으로 파악하였고, 196) 충북 3·1운동의 성격을 정리하고, 특히 조동식의 봉화만세운동의 역사적 의의를 규명하였다. 197) (4) 청년·학생·사회운동 충북의 독립운동사에서 가장 취약한 분야가 이 분야이다. 여기에 대하여는 괴산지역의 사 례 연구 정도가 고작이다. 청년운동은 신간회나 농민운동 등의 사회운동과 관련성이 깊기 때문 에 유기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괴산청년회는 이를 잘 입증하고 있다. 괴산의 청년운동에 대 하여 강신욱은 당시의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괴산지역 청년단체의 창립과 조직, 괴산청년동맹 의 창립, 활동과 운영, 일제의 탄압, 신간회 괴산지회 및 사회주의와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198) 신간회 괴산지회에 대하여는 괴산지회의 창립과정과 구성원, 활동과정과 일제의 탄압 및 해 소 과정까지 추구한 최동일의 논문이 유일하다. 199) 특히 현지답사와 증언을 통해 지회 구성원을 분 석한 부분은 주목된다. 그러나 학생운동에 대하여는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그 까닭은 충북의 학생운동이 미약했 던 데에 원인이 있을 것이나, 1930년 1월 21일의 청주 학생들의 연합운동은 주목하여야 할 주 제라고 생각된다. 농민운 동과 노동 운 동에 대한 연구로는 영동지역의 농민운 동 을 다 룬 강호출의 연구가 있다. 이 연구는 영동 농민운동의 사회경제적 배경, 1920년대 영동지역 사회운동과의 관계, 1930년 대 농민조합운동 등을 살피고 그 성격과 의의를 정리한 바, 농민운동이 청년들에 의해 주도되 고 사회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음을 밝혀냈다. 200) 한편 장승 순 은 1920 ~30년대 충 북지역의 농민운동을 개괄하였다. 201) (5) 인물 어느 지역,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인물은 지역사 연구의 중요 주제이다. 202) 충북의 경우도 삼 196 朴杰淳, 1996, 『槐山地方 抗日獨立運動史』, 괴산문화원, 96~174쪽. 한봉수의병장동상건립추진위원회, 1998, 『舊韓末 義兵將 韓鳳洙의 抗日鬪爭』, 110~114쪽. 197 박걸순, 2019, 『한국독립운동과 역사인식』, 역사공간 참조. 198 강신욱, 2000, 「1920년대 괴산지역 청년운동」,『괴향문화』8, 괴산향토사연구회, 81~110쪽. 199 崔東一, 1998, 「新幹會 槐山支會 硏究」,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 姜浩出, 1991, 「植民地時代 忠北永同地域 農民運動硏究」, 『史叢』제39집, 69~104쪽. 201 장승순, 2013, 「일제강점기 충북지역의 농민운동」, 『역사와 담론』제68집, 101~148쪽. 202 예컨대 전남 지역사 연구에 있어서 인물 연구는 전체의 1/3이나 차지하고 있는 형편이다(김동수, 1998, 「전남 지역사 연구 의 현황과 과제」, 『지역사와 지역문화』1, 학연문화사, 47~4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