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page

충북독립운동사개관 39 일제에 의한 신간회 지회 탄압의 대표적 경우라 할 수 있다. 116) 괴산지회의 창립 모태가 되었던 것은 괴산청년회 집행위원회였다. 신간회 지회의 설립에 청 년 회가 주도적으로 역할을 한 예는 타 지역에서도 볼 수 있으나, 117) 충북지역의 경우는 괴산지회 가 대표적이다. 1920년 8월에 조직된 괴산청년회는 노동야학을 개설하고, 호서민중운동자대회 의 개최를 계획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118) 이 회의 회장 安喆洙 (1905년생, 괴산생, 자작농 정도, 제일고보 졸업) 119) 는 1929년 6월말 충북의 복대표로 활동하였다. 충북지역 신간회 지회의 활동상황은 議案 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청주지회는 회원의 증원과 교양, 도내 일반 정세조사 및 각 군 지회설립 촉성, 청년·농민문제, 재만동포옹호문제, 120) 괴산지 회는 지회의 유지 및 선전·조직·교양방침, 정치·청년·여성·농민·노동운동 문제, 도로문제에 관한 건 등이 주요 의안이었다. 121) 신간회운동은 1931년부터 해소되기 시작하였다. 충청지역 지회의 해소원인과 과정은 자료의 결핍으로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5) 학생·청년운동 ① 1920년대의 학생운동 3·1운동에서 학생은 독립운동의 전위부대로 등장하였다. 이후 6·10만세운동과 광주학생운 동 에서 알 수 있듯이 이제 학생층은 독립운동의 주체로 성장한 것이다. 1920년대는 ‘학생의 시대’라 할 만큼 학생들이 민족운동의 전면에 나섰다. 1920년대의 학 생 운동에서 전국적으로 나타난 투쟁양상의 주류를 이루는 것은 同盟休學 ( 盟休 )이었다. 1920년 대 맹휴투쟁은 전국적으로 총 404회 발생하였는데, 충북지역은 17건이 발생하여 전국 대비 4.2%에 불과하였음을 알 수 있다. 122) 이 또한 충북지역이 학교와 학생 수가 적었고, 고등교육기 관이 부재했던 교육환경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1920년대 충북지역에서 전개된 학생운 동은 그 사실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심지어 현지에서조차 학생운동은 역사의 기 억으로부터 매몰되어 있다. 1920년대 충북지역의 학생운동을 발생 연월일별로 정리하기로 한 다. 116 崔東一, 1998, 「新幹會 槐山支會 硏究」,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참조. 117 이균영, 1993, 『신간회연구』, 역사비평사, 251~253쪽. 118 《東亞日報》, 1920년 8월 18일자 및 동 9월 18일자 등. 119 이균영, 1993, 『신간회연구』, 역사비평사, 169쪽. 120 《東亞日報》, 1927년 12월 25일자. 121 《東亞日報》, 1928년 1월 11일자. 122 朝鮮總督府警務局, 1929, 『朝鮮に於ける同盟休校の考察』, 6~9쪽. 이는 慶北(13件), 咸北(15件) 다음으로 적은 경우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