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6page

군으로와 있던 한인병사들이 대거 탈출해 광복군에 합류함으로써 또한광 복군 병력이 코게 증가할수 있었다 광복군은 1940년 창설 당시 30여 명에 불과했으나. l년 후에는 10배인 300여 명이 되었고, 1945년 종전 직전에는 총사령부‘ 3개 지대‘ 제3전구 및 제9전구공작대, 토교대 등을 포호F해 700∼800여 명 에 달했다 14) 광복군과대중꽉관계 1940년 9월 17일 임시정부 주석 김구는 광복군 선언문을 발표하여 “광복군 은 한 • 중두나라의 독립을회복하그l자공동의 적인 일본제국주의를 타도하며 연합군의 일원으로항전할 것을목적으로한다.‘’고광복군 창설의 취지를 천명 하였다. 충칭의 기릉빈관휩않흉館에서 거행된 광복군 총사령부 성립전례식成立 典샘式에는중국라민당정부요인 및 각사회단체 간부와각국 대사 · 공사 • 외 교사절 및 신문기자단둥내빈 200여 명이 참석한가운데 진행되었다. 그러나 중국군사위원회에서는 1년여 뒤인 1941년 11월 광복군에 한국광복 군행동9개준승합패尤復軍行페九個따빼을 요구하였다. 중국측이 광복군 창설을 승인하는조건으로광복군의활동을규제하려는것이었다.그내용은, φ 광복 군은중국군참모총장의 명령과지휘를받아야하며, 임시정부는단지 명의상 으로만통수권을갖는다{제1 · 2항).@광복군은한국이나한국변경에근접한 지역에서만활동하는것을목적으로하되, 반드시 중국군과 연합해서 행동하여 야하며,이를위해광복군의중국내군사훈련은해당지역의중국군사령관의 통제를받아야한다〈제3 ‘ 9항).@중일전쟁종결이전에는설혹광복군이 한국 내로진격하여 들어간다하더라도별도의 협정이 체결되기 전까지는중국군사 위원회의 명령과지휘를받아야한다{제8항). @중일전쟁이 끌난뒤 광복군이 한국 내에 들어가지 못하고, 중국 안에 있을 경우 광복군의 운영 문제는 중국군 사위원회의 정책에 의해 처리한다(제9항) 퉁이었다. 14) 정병준, 『광복 직진 독립운동세력의 동향』(독립운동의 역사 제56권),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소, 2009, 제2장 뚱경임시정부의 성립 4。4 고양독립운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