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4page


154page

알아야하는 역사, 기억해야 하는 이름 제주4.3 제주 4.3사건의 개요 배경 : 일제강점기 제주를 떠나 살던 7만 여명에 이르는 이들이 해방직후 부푼 희망을 품고 고향 제주로 돌아오면서 해방 전 22만여 명이던 제주 인구가 해방 후에는 27만 6천여 명으로 급증하였습니다. 이들은 자주 독립적인 국가를 세우기 위하여 인민위원회를 조직하고, 치안 활동에 주력하면서 일본군 패잔병의 횡포를 막고 토지.산업시설들을 지켰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각 면별로 초등학교, 중학원을 설립하면서 자치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제주도는 실제적으로 인민위원회가 도내 각 면과 마을 행정을 주도하였습니다. 미군은 1945년 9월 28일 제주에 들어왔고 이후 군정업무를 담당하는 제59군정중대가 11월 9일 들어왔지만 당시 이미 자치적인 영향력이 강했던 제주인민위원회의 지원을 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미군정은 인민위원회를 공식적인 행정기관이나 통치기구로 인정하지 않았고 도청과 경찰의 요직에 일제때 관리를 그대로 앉혔으며, 서서히 우익인사들을 조직화시켜 인민위원회에 대항할 세력으로 키워갔습니다. 그리고 1946년 8월 1일 제주도(島)가 행정구역인 제주도(道)로 승격되면서 경찰병력이 증강되고 조선경비대 9연대가 창설되는 등 공권력이 강화되자 1946년 말부터 미군정은 인민위원회를 직접적으로 탄압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러한 미군정의 정책 강행은 도민들의 불만을 가져왔고 광복직후 식량생산이 감소하여 양곡부족의 상태가 지속되면서 식량 가격이 폭등하였고 더구나 전국적인 가뭄속에서 갑작스럽게 인구가 유입된 제주도는 심각한 식량난을 겪고 있었음에도 미군정은 보리까지도 거두어들이는 미곡 정책 실패로 생존이 윕협받는 공황상태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154page

발단 : 인민위원회의 좌익진영은 해방2주년이 되는 1947년 3월1일 기념식을 전도민적인 행사로 치르기로 준비하였습니다. 그러나 미군정은 3.1절행사에서 시위를 하는것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행사를 주관하는 좌익진영(제주도 민주주의 민족전선)은 미군정 당국이 몇 차례 만나 협의하였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미군정은 충남.북 응원경찰 100명을 제주에 급파하며 비상경계에 들어갔고 좌익진영이 주관하는 3.1절 행사는 당초계획대로 강행되었습니다. 3.1절 기념대회는 각 읍.면 별로 치러졌고 제주북국민학교에는 제주읍. 애월면. 조천면 주민 3만 여명이 모였습니다. 행사후 군중들은 가두시위에 나섰는데 관덕정 부근에서 기마경찰의 말발굽에 어린아이가 차여 다치게 됩니다. 이때 기마경찰이 어린이를 방치하고 지나가자 흥분한 군중들은 기마경찰에게 돌을 던지며 항의했고 관덕정 부근에 포진했던 무장경찰이 이에 대응하여 총격을 가하면서 구경나온 민간인 6명이 사망하였습니다. 이들 가운데 15세 국민학생과 젖먹이 아이를 가슴에 안은 채 총격에 피살된 여인도 있었습니다. 이 발포 사건으로 제주도내 민심을 극도로 악화되었으나 미군정과 경찰이 사태 수습보다 시위 주동자 검거에 주력하자, 1947년 3월 10일 제주도청을 시발로 민.관 총파업이 시작되었습니다. 도청 등 관공서는 물론 은행, 회사, 학교, 운수업체, 통신기관등 도내 156개 기관 단체 직원들이 파업에 들어갔고 현직 경찰관까지 파업에 동참하였습니다. 그러나 미군정은 민의를 들으려 하지 않고 일제 강점기의 경찰들과 육지에서 온 응원경찰과 서북청년회원들을 동원하여 총파업에 가담한 이들에 대한 가혹한 탄압을 하였고 고문으로 사망까지 하는 젊은이들이 늘어나면서 민심의 분노는 끓어올랐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남로당 제주도당이 1948년 4월 3일 새벽에 12개 경찰지서와 우익인사와 우익청년단체를 급습하면서 총파업을 통한 항쟁은 무장투쟁으로 변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