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6page

N. 맺음말 이제까지 밀양 고법리 고분벽화의 적외선촬영 조사결과와 윷칠 파펀 등에 대한 조직 관찰 및 성분분석을 통한 제직특성을 알아보았다 이같은 조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벽화의 적외선촬영 조사는 육안관찰이 어려운 벽화의 원형확인 및 표면의 오염물 제 거 등 보존처리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남서단벽 입구의 남동측과 북서측에 그려진 매화, 대나무 및 바위의 벽화는 촬영결과를 영상처리하여 벽화원형을 파악하였다. 북동측벽화는 심한 손상을 입어 벽화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벽화의 하부에서 담벽을 관찰함으로써 벽화가 그려졌음을 입증하게 되었 다 또한 석실 천정에도 정확한 벽화의 묘사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적외선촬영결 과 인위적으로 벽화를 그린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문양의 흑색 알갱이들이 문양 표면에만 앓게 도포하고 있고, 강젝내부로 안료층이 침투해간 흔적이 없었다 이같은 결과는 단면관찰에서도 같은 결과를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벽화의 묘사방법이 강회를 바르고 마른 후에 문양을 그린 벽화 묘사방법을 알 수 있게 해주었다 목관 외부의 흑칠 파편의 조사결과 칠층의 단면구조는 하지층과 3개의 칠층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칠층구조는 제l층과 제2층은 불균일한 두께의 층을 이루나, 표변층인 제3층은 다른 층에 비하여 균일한 두께로 연마되었다 목관 상부의 범자문양 안료는 분석결과 순은으로 동정되었다. 또한 단면관찰 결과 안료는 칠층과 분리되어 관찰되며, 이는 칠 작업 후에 다시 글자나 문양을 장식했던 목관의 제작방법을 알 수 있게 해주 었다 목관의 상부에서 수습된 銘族 천은 평직으로 직조되었으며, 단변관찰 결과 부분적으 로 삼각형의 한 가닥의 섬유가 한개 또는 2개로 합쳐지고, 측면이 투명한 막대기 모양 으로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섬유종류는 견으로 동정되었다. 벽화강회와 당초문양의 안료 분석결과에서 강회는 석회(Calcite, CaC03)와 석영 (Quartz, SiO:z)으로 동정되었다. 흑색 안료성분은 기기분석으로 동정되지 않았으며, 이는 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