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page


65page

국내외 해결운동 1991년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여성임을 세앙에 알리면서 생존피해 여성들의 증언이 잇따랐고, 1990년대 초부터 시작된 민간단체 결성과 생존 피해여성들의 잇따른 공개증언은 국내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운동에 불을 지폈다. 생존피해자들의 국내외 증언활동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여론을 지지와 연대라는 틀로 엮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내며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생존피해자와 관련단체들의 노력으로 피해여성들을 지원하고 해결하기 위한 지원 법률제정, 한일협정문 공개, 헌법소원을 통한 한국정부의 부작위에 대한 헌범위배 판결 등의 획기적인 결과를 만들어 내며 서명운동, 국제민간법정, 국제증언활동, 국제연대대회, 지방의회 결의한 채택운동, 역사관.기림비 건립 등의 활동을 활발히 펼치며 인권과 평화의 소중한 가치실현을 구현해내고 있다. 유엔을 비롯한 국제노동기구, 국제법률가협회, 국제엠네스티 등 국제기구에서는 1990년대부터 조사보고서, 권고문 등을 통해 일본정부의 법적책임이행을 촉구해오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2007년 미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 채택을 시작으로 네덜란드, 캐나다, 유럽의회, 대만 등에서 의회결의안이 채택되어졌고 일본은 2008년 지방의회에서 의견서가 채택되기 시작하여 현재 60여 곳에 이르고 있으며 한국도 국회와 지방의회 60여 곳에서 결의안을 채택했다. 2010년 미국 뉴저지주 버켄카운티 펠리세디즈팍의 기림비를 시작으로 기림비 건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2014년 현재 미국 내 8개 지역에 기림비가 세워져 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아픈 역사, 피해자 개인의 수난, 과거사라는 인식을 넘어서 그 피해여성들이 생존해 있는 현재진행형의 문제로서 가해국 일본에 대한 국가의 법적 책임이행을 통해 피해여성들의 인간적 존엄과 명예, 역사저의가 회복되어져야 하는 문제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서 이 참혹한 역사를 되새기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올바른 정립을 위한 노력은 국내는 물론 국제사회에서도 지속되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