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page

194 ┃제 편8 ┃ 대한민국시대의 함평 김영택 한국전쟁과 함평양민 학살 사회문화원, , , 2001.○ 『 』 김영택 한국전쟁기 남한 내 적색빨치산의 재건과 소멸 한국, (1950.10.5- 1954.4.5)○ 『 」『 근현대사연구 제 집 한국근현대사학회 겨울27 , , 2003. .』 김영택 한국전쟁기 불갑산지구 빨치산과 대보름 작전 북악사론 제 집 북악사, ‘ ’ , 10 ,○ 「 」 『 』 학회, 2003. 라 현장조사. 함평군 함평읍 엄다면 대동면 학교면 나산면 월야면 등 당시 국군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민, , , , , 간인 집단희생 사건이 발생한 각 지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년 월 일 최초의 민간인 희생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학교면 사거리 율동1950 10 22 마을 사건현장과 사거리 낙천동 사건현장을 확인하였고 주민 윤상율로부터 진술을 청취하였다. 또 년 월 일 사건이 발생한 함평읍 수호리 구 대등마을 대딴봉과 해동마을 사건현1950 10 23 2 장을 확인하고 목격자 이기영과 이건영으로부터 사건 당시 정황에 대한 진술을 청취하였다. 대동면 향교리 남교마을의 숲쟁이길 에 대해서도 대동면의 협조를 받아 현장을 확인하였다‘ ’ . 그리고 월야면 용정리 복용마을에서도 주민 김영훈으로부터 당시 희생사실에 대한 진술을 청취 하였다. 또한 수복작전 당시 국군의 숙영지로 알려진 함평읍 함평중학교와 대동면 향교리 명륜당 및 나 산국민학교 등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함평수복에 앞서 호남선 선로보수를 하였다는 이유로. 년 월 일 빨치산에게 연행되어 대동면 덕산리에서 희생된 학다리역 선로보수원 위령1950 10 19 비도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2) 사건의 배경(1) 개전 초 낙동강 방어선까지 후퇴하였던 한국전쟁의 전세는 유엔군의 참전 및 인천상륙작전 년 월 일 과 서울 수복 월 일 을 기점으로 반전되었다 국군과 유엔군의 전선이(1950 9 15 ) (9 28 ) . 압록강까지 이르자 중공군은 년 월 일 한국전에 참전하였다 이때부터 인민군과 지방1950 10 16 . 좌익도 후방전선에서 기관 시설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였다, . 한국정부는 미군이 맡았던 후방지역 빨치산 토벌작전을 전담시킬 제 군단을 창설하였고 제 군3 3 단은 예하에 사단을 배속시켜 호남과 서부영남지역 빨치산 토벌작전을 담당하게 하였다 빨11 . 치산도 년 월 전남지역 전남도당 유격대를 조직하여 총사령부를 설치하고 각 지역별 유1950 9 격부대를 조직하였다 도당은 화순군 북면 백아산 기슭에 도당 본부를 설치하고 불갑산지구 등. 개 지구를 두었는데 불갑산지구는 함평군 해보면 용천사에 빨치산 사령부를 설치하였다6 . 제 사단은 단계로 나누어 토벌작전을 펼쳤는데 함평지역 수복작전11 4 180)은 그 중 제 시기1 180) 제 사단의 시기별 토벌작전 내용 보병 제 사단 앞의 책 쪽 은 다음과 같다 제 기11 ( 11 , , 167 ) . 1 (1950. 10. 7.~10. 25.)■ 신규병력을 훈련하고 지역 행정기관을 복구하였으며 적정을 수집하였음 제 기 월동기를. 2 (1950. 10. 26.~12. 31.).■ 맞아 빨치산이 저항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본격적으로 견벽청야 작전을 전개하였음 제 기‘ ’ . 3 (1951.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