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page

제 장 대한민국사 개관1 _ 19 심의한 끝에 좌우합작 원칙을 발표하였다 그 내용은 상회의의 결정에 따른 좌우합작의 민주7 . 3 주의 임시정부 수립 미소공동위원회 속개 토지개혁과 중요산업 국유화 친일파민족반역자 처, , , ․ ․ 벌조례 성안 정치범 석방과 테러행위 중단 언론집회 결사 등의 모든 자유보장 합작위원회에, , , , ․ 의한 입법기구의 구성 등이었다. 이 원칙이 발표되자 김구의 한국독립당은 찬성 이승만은 조건부 찬성 한국민주당과 박헌영의, , 조선공산당은 반대를 표명하였다 좌우 세력의 찬반이 엇갈린 것은 주로 신탁통치와 토지개혁. 및 친일파 처리문제였다 그렇지만 당시의 여론은 좌우합작운동을 지지하였고 미군정 또한 좌. , 우합작에 의한 중도정부의 수립을 옹호하였기 때문에 이 운동은 한때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 . 리하여 좌우합작위원회와 한국민주당계가 주축이 된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이 년 월 일1946 12 12 구성되었고 남조선 과도정부가 년 월 일 설립되어 중도적인 입장에서 현안문제들을 처, 1947 2 5 리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극좌세력과의 대립을 해소하지 못한 채 이승만 등이 단독정부 수립을 획책하고 좌우합, 작운동의 핵심 인물인 여운형이 년 월 일 암살되자 사태는 단독정부 수립의 방향으로1947 7 19 기울어져갔다 미국도 소련과의 냉전이 심화되어감에 따라 좌우합작운동에 대한 지원을 철회하. 고 극우세력을 옹호하기 시작하였다 그 일환으로 미국은 미소 공동위원회 결렬을 핑계 삼아, . ․ 한국 문제를 국제연합으로 이관하였다 이에 따라 좌우합작위원회 역시 년 월 일 해체. 1947 12 6 되고 말았다. 극좌극우세력의 방해와 미군정의 지원철회로 좌우합작운동이 무산되고 또 남북한의 분단이 기,․ 정사실화되어가자 김구와 김규식은 남북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마지막 노력을 기울였다 한국, . 독립당의 김구는 중도세력을 통합하여 민족자주연맹을 결성한 김규식과 함께 한국문제의 국제 연합 상정에 반대하고 북한의 김일성과 김두봉에게 남북 지도자회의를 제안하였다 북한 측, . 역시 이에 호응하여 남북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의 개최를 제의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년 월 일 남북협상이 열리게 되었다1948 4 19 . 이들 자회담에서는 정치문제 이외에도 북한 측의 송전 계속과 연백수리조합의 개방 등이 논의4 되었다 그렇지만 미소의 냉전이 격화되고 남북한의 극우극좌세력들이 모두 단독정부 수립을. , ․ ․ 확고하게 추진하자 남북협상 또한 결렬되고 말았다 한국독립당과 민족자주연맹은 년 월, . 1948 5 일 총선에 불참하고 통일독립촉성회를 결성하여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노력을 계속했지만10 , , 역사의 방향은 이미 국토분단과 민족상잔의 길로 치닫고 있었다 결국 남북한에는 체제와 이념. 을 달리하는 단독정부가 수립되었다 분단국가의 성립에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미소 양국의. ․ 분할점령이 근원적 배경을 이루고 있었지만 그러한 외세에 편승하여 정치권력을 장악하려고, 획책했던 좌우세력의 분열책동 또한 이에 못지않은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통일된 자주독립국가의 달성이라는 과제에 못지않게 식민지 유제의 처리문제 즉 반민족세력의 처단 귀속재산의 처분과 토지개혁 등은 시급하고도 절실한 민족적 과업중의 하나였다 때문에, . 모든 독립운동세력은 그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을 무엇보다도 중시하였고 또 그 처리방향에 대, 해서는 친일반역배의 강력한 처벌과 중요 산업시설 및 귀속재산의 국유화 토지의 무상몰수 및, 무상분배 등으로 대체로 의견의 합일을 보고 있었다 그렇지만 해방정국의 혼란과 분단국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