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page

13 법은 해방 이후에도 사용되었으며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 등 간지(干支)를 사용한 분 류법이 일반화되었다. 4시기 구분법은 1970년 강재언의 주장에서 비롯되었는데, ①초기 단 계(1895. 10∼1896. 5), ②재기 단계(1905. 4∼1907. 7), ③고조 단계(1907. 8∼1909. 10), ④퇴조 단계(1909. 10∼1914)로 구분하였다. 이 구분법은 1909년 일본군에 의한 이른바 ‘남 한 대토벌 작전’ 이후 의병의 퇴조와 독립군으로의 전환 과정을 별도의 한 단계로 파악한 것 이다.4) 조동걸도 최근의 연구 성과까지 수용하여, ①전기 의병(1894∼1896), ②중기 의병 (1904∼1907. 7), ③후기 의병(1907. 8∼1909. 10), ④전환기 의병(1909. 11∼1915)의 4단계 로 구분하기도 하였다. 여기에서는 조선말 반일 의병의 기점을 기존의 1895년 을미의병에서 1894년의 의병으로 고쳐 잡고, 의병의 하한을 1914년 대한독립의군부의 해체가 아닌 1915년 채응언의 체포로 설정한 점이 주목된다.5) 의병사의 시기 구분과 관련하여 북한에서 출간한 오길보의 『조선근대반일의병운동사』도 참고된다. 이에는 의병을 크게 2단계로 구분하여, ①19세기 말 반일 의병 운동(1895∼1896), ②20세기 초 반일 의병 운동(1904∼1914)으로 구분하였다. 그 중 제2단계는 다시 ①반일 의 병 운동의 재개(1904∼1905), ②반일 의병 운동의 앙양(1906∼1907. 7), ③반일 의병 운동의 확대 발전(1907. 8∼1909), ④일제의 조선 강점을 전후한 시기 반일 의병 운동(1910∼1914) 의 4단계로 나뉜다. 의병의 기점을 1895년 7월 김원교가 평안도 상원에서 봉기한 상원 의병 으로, 1914년 김정환 의병의 유정리 전투를 의병의 하한으로 잡은 것이 우리와 다르다.6) 이 글에서는 한말 의병을 전기, 중기, 후기 의병의 3시기로 구분하고자 한다. 4시기 구분 법에서는 1909년 일본군에 의한 ‘남한 대토벌 작전’을 전후하여 후기 의병과 전환기 의병을 구분하였으나, 여기에서는 이를 한 시기로 묶어 후기 의병이라 지칭하고자 한다. 비록 1909 년 10월 이후 의병 활동이 퇴조한 것은 사실이나, 의병 부대의 활동이 연속되었으니 의병의 이념이나 목적 등의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독립군으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특성 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는 1910년 이후에 나타나는 후기 의병의 한 특성으로 볼 수 있으며 별도의 시기로 구분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한말 의병의 전개 과정을 시기적으로 ①전기 의병 (1894∼1896), ②중기 의병(1904∼1907. 7), ③후기 의병(1907. 8∼1915)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강재언, 「반일의병운동의 역사적 전개」, 『조선근대사연구』, 동경, 일본평론사, 1970. 5) 조동걸, 『한말의병전쟁』,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89. 6)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조선근대반일의병운동사』, 1988. 1. 의병의 개념과 시기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