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page

1. 의병의 개념과 시기 구분 11 1. 의병의 개념과 시기 구분 1894년 일본군이 경복궁을 무력으로 점령한 갑오변란과 청·일 전쟁을 전후하여 일제의 군사적 위협은 더욱 노골화되었다. 조선인들은 외세 침략을 당면의 극복 과제로 인식하면서 의병을 조직하여 국가와 민족을 수호하기 위한 항쟁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의병 항쟁은 한민 족의 반침략·반개화 투쟁이며, 국권 침탈 이후 독립전쟁을 일으키게 한 정신적이며 인적인 연원이 된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크다. 의병이란 맥켄지가 『자유를 위한 투쟁』(The Fight For Freedom)에서 ‘정의군’(Righteous Army)이라고 표현하였듯이 정의를 위해 일어난 군대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한말 의병 은 이와 같은 뜻만으로 설명하기가 부족하다. 박은식(朴殷植)은 『한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에서 의병(義兵)이란 민군(民軍)이다. 국가가 위급할 때 즉각 의(義)로서 분기(奮起)하여 조정 (朝廷)의 징발령(徵發令)을 기다리지 않고 종군(從軍)하여 적개(敵愾)하는 자1) 라고 정의를 내렸다. 여기에서 의병은 민군으로, 곧 ‘군주의 원한을 풀고자 하는(敵愾)’ 충의 군임을 알 수 있다. 즉 의병이란 “충의정신에 입각하여 외적의 침략에 자발적으로 무장 항쟁 하여 대항한 민군(民軍)”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다. 이처럼 한말 의병은 정의감과 충의정신에 기초하여 개화정권을 극복하고자 하였으며, 동시에 일본이라는 외세를 몰아내 국권을 수호 하고자 한 반침략의 구국항쟁의 민족독립운동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의병 정의를 다시 5상[常 ; 삼강오륜의 5륜(倫)을 의미함-필자] 정신에 입각하여 살펴보면 바로 ‘군신유의(君臣有義)’의 의(義)와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의병의 주요 이념이 성리학의 의리론에 기반하는 것이다. 이것이 대내적으로는 사육신과 같은 불사이군(不死二 君)의 절의파를 배출해 냈다면, 대외적으로 민족의 위기에는 ‘사생취의(捨生取義)’와 ‘주욕신 사(主辱臣死)’의 정신에 투철한 의병으로 표출된 것이다. 따라서 의병이 비록 현재 관점에서는 봉건적이라는 사상적 한계가 있다 할지라도 충군과 근왕이라는 고유의 성격을 내포한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개념의 의병은 이미 임진왜란 때에 나타났다. 임진의병이 보 1)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 상해, 유신사, 1920, 제11장 <각지의병지약력(各地義兵之略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