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page

군 창군의 의의 · 건국강령 · 세계혁명사 등을 전담하는 동시에 한광반의 설치 목적을 명백히 밝혀 주었다 교육훈련 기간은 5개월로 하여 제 1기생 50명을 전원 중국군 준위로 임 명되었다. 김성환(金聖煥) 선생은 장준하(張俊河) . 김준엽(金俊爆) 등 50명은 제 l기 한광반(韓光班)을 졸업하고, 광복군 제2지대에 배치되어 항일운동을 하였다. 한광반 제 1기 졸업생 명단은 다음과 같다. 김우전(金祐옳) 김용민(金容몽) 윤영무(尹永많) 변영근(邊榮根) 백정갑(白正甲) 이동진(李東鎭) 한성수(韓聖洙) 전이호(全屬鎬) 차약도(車若島) 신현창(申鉉昌) 이문화(李文華) 노능서(쩔能瑞) 선우진(蘇子鎭) 김중섭(金件涉) 정 명(鄭 明) 홍기화(洪基華) 서상렬(徐相烈) 송영호(宋永祐) 장준하(張俊河) 박승헌(朴承憲) 윤창호(尹昌浩) 이영길(李永吉) 윤경빈(尹慶影) 석근명(石根永) 김준엽(金俊爆) 이계현(李햄玄) 김영호(金榮鎬) 김국주(金國柱) 김규열(金圭例) 윤재현(尹在賢) 박영록(朴永雄) 홍석훈(洪錫勳) 김유길(金柔놈) 김성환(金聖煥) 김영록(金永錄) 안광언(安光彦) 김 춘정 (金春鼎) 최 기 옥(崔基玉) 김 성 근(金星根) 김 중호(金件浩) 이성봉(李成鳳) 고성부(高聖夫) 김상걸(金尙傑) 김정하(金正夏) 배경진(裵京鎭) 송병철(宋炳喆) 오명덕(吳明德) 또한 통신 · 파괴 · 교란행동 · 정보수집 · 유격대 조직 등을 수행하기 위 한 기술 전법의 oss훈련 무전반(無電班)을 3개월간 수료하고 국내 진입 을 위하여 계획된 경상도반(반장 : 허영일(許永-). 1조 : 김성환 · 구자 민 · 이동학)에 배속되어 국내진입을 대기하던 중 일본의 항복으로 아쉽게 도 그 결실을 보지 못하고 광복을 맞이하게 되었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 대통령 표창, 1980년 건국포 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부천에 거주하는 유족으로는 부(歸) 이양일(李養一) 자(子) 김혜숙(金惠 淑) . 외손(外孫) 유현식 · 유춘식이 있다. @ 參考文敵 : 獨立運動史(園l 家報勳處) 第6卷 387 . 409 . 420 . 462 . 495 . 507面 獨立運動史(國家報勳處) 第9卷 816ft태 86 부천독립운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