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page

계로 올라서는 것 을 보여주고, 반대로 사랑의 균열-배신과 복수 등-을 다 룰 경우 에는 적대인물이 현재의 상황보다 더 낮은 단계로 내려앉는 것을 보 여준다. 다시 말해 드라마의 운동 방향이 향하고 있는 최종 목적지가 어디인가 에 따 라 그것은 각각 다른 장면의 형상화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예컨대 첫 번째 인 사랑의 성취를 형상화하는 가장 보편적인 장면은 주인공이 축제로서 의 결 혼에 이르는 것으로 제시되고, 두 번째와 같은 사랑의 균열은 적대인물에 게 사 회적 박탈이나 경제적 파산 또는 극단적인 방법으로서 생의 마감 등이 제시 된다. 결국 어떠한 경우의 수이건 대부분의 멜로드라마는 사건의 ‘일단락 (一段 落)’을 통해 서사의 지연을 중단시킴으로써 끝을 맺는다. 현대적 드라마 독자는 비극적 비참에 당황하고 당혹스러워하지 않는다 . 영화 와 텔레비전 드라마 사이의 간극이 급속도로 좁혀지고 있 는 현대 사회에 서 독 자는 이미 세련되고 유연하게 텍스트를 흡수할 자질을 갖추고 있다. 오히 려 대 부분의 드라마가 독자의 변화를 선도하기는커녕 그것을 따라잡지조차 못하고 있는 것이다. 드라마의 끝은 천편일률적인 의무적 장면으로부터 탈주하여 텍스트 내 부의 동 력이 생성하는 다양한 장면을 향해 열려 있어야 한다. 드라마라고 해서 그것 이 굳이 행복과 안정을 향해야 할 당위는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 드라마는 전체와 부분의 긴밀한 절합으로 완성된다. 미니시리즈와 연 속극은 일간 혹은 주간 단위로 구성되는 낱낱의 텍스트가 모여 하나의 전체를 이룬다. 그렇기 때문에 드라마는 전체로서는 안 정-불안정-안정을 추구하지만 부분 으로서 는 불안정-안정-불안정의 틀을 따른다. 그것은 기억의 지속과 서사의 연 속을 키워드로 하는 드라마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독자의 시선을 최대한 고정 시키기 위해 텍스트는 서사를 어디에서 중단시키고 어디에서 재개할 것인지 에 대한 탐색을 멈추지 않는다. 낱낱의 텍스트를 통해 구현되는 부분으로서 의 플 롯은 인간의 이야기에 대한 욕망을 간파한 분절의 기획인 것이다. 한편, 전체는 극적인 것에 대한 각인에서부터 시작된다. 이는 전체가 의미 하는 본원의 복원을 일컫는다. TV 드라마는 대문자 드라마와 마찬가지로 인간 행동의 전체에 대한 극적 형상화를 본질로 하는 예술이다. 따라서 그것 은 미 학적·예술적 견지에서 스토리를 재구하는 고전적 원칙에 대한 참조를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