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page


53page

철원읍 3·1만세운동 항쟁지 ● 정의: 1919년 3월 10일과 11일 강원도 최초로 일제에 항거한 대규모 만세시위의 중심지 ● 현재주소: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 131 서문거리 일원 ● 당시주소: 철원군 철원읍 관전리, 중리, 월하리, 사요리, 외촌리의 읍내 중심가 ● 현재상태: 한국전쟁 이후 폐허가 된 구원읍 일대는 당시의 도시 흔적은 남아 있지 않지만 수복 이후 재건된 민통선 마을과 다양한 근대문화유산이 밀집해 있는 상징공간이다. 강원도 최초의 대규모로 봉기한 철원읍의 3·1만세운동은, 1919년 3월 2일 내문면 출신 천도교 교훈 최병훈 등이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고 체포되면서 발단이 되었다. 전국적으로 일어난 3.1만세항쟁의 함성은 3월 10일 오후 3시경, 일제 강점 전후로 지역 내 선지자들에 의해 조선독립의 사상을 고취받은 철원 사립학교, 농업학교, 보통학교 학생, 기독교 교회 청년, 지방 청년, 농민 등, 청년 250여명이 중심이 되어 군청 뒷산인 북관산에서 미리 제작한 대형 태극기를 흔들고 대한독립을 크게 위치며 강원도 최초로 만세시위를 벌이기 시작하였다. 시위대는 이어 서문거리 → 철원군청에서의 연설회 → 헌병분견소 → 군수 오태환의 집 → 월하리 거주 한성판윤을 역임한 친일파 박의병의 집 등으로 이동하면서 다양한 연설과 시위를 벌였으며, 날이 어두워지자 700여명의 군중이 참여한 10일의 1차 집회를 해산하였다. 다음 날인 3월 11일, 이른 아침부터 서문거리에 다시 집결한 철원의 군중들은 서쪽의 철원역까지 4㎞ 거리를 독립만세의 함성과 함께 행진하여 철원역 광장에서 700여명이 모여 크게 만세시위를 벌였고 다시 관전리의 철원군청 방향으로 행진하던 중 도로변의 농업학교와 보통학교 학생, 군민들이 더 크게 합류하며 읍내로 진입하였다. 이때 일본 헌병 5명의 1차 저지와 기마 헌병의 2차 저지를 무너뜨리며 만세함성과 함께 서문거리에 이르렀을 때 헌병의 3차 저지선과 충돌하고 공포가 발사되며 일제의 무력적인 강제진압 과정에서 대열 선두의 주동자 12명이 체포되고 대열이 혼란해지며, 4,000여명이 대규모 군중들도 강제 해산되면서 2차 집회가 마무리되었다. 철원읍 만세운동으로 현장에서 체포 및 검거되어 실형이 언도된 독립운동가는 이학수, 송희선, 이소희, 박용철, 엄재형 등 18명으로, 의병장, 전도사, 교사, 학생, 농민 등 청장년층의 다양한 직업군을 가지고 있다. 철원의 만세운동은 이후 철원 각지로 확산되어 갈말면과 내문면 만세운동을 촉발하게 하였고, 이후 국내·외의 다양하고 조직적인 독립운동으로 발전해 나아가며 철원의 일제식민지시대 저항정신의 매우 독특하고 차별적인 독립운동정신의 근간을 형성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