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page


120page

민족 저항시를 쓴 간도용정땅 윤동주, 그 시를 지켜낸 전남 광양 망덕땅 정병욱, 두분의 아름다운 우정을 준비하면서..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 이라는 시구는 많은 대한민국 국민이 한 번 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그리고 이 말을 처음 내뱉은 이의 속내를 깊이 생각했느냐 여부와 관계없이 많은 수의 사람들이 이 문구를 자신의 입을 통해 혹은 글을 통해 표현한 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말을 통해 자신의 깊은 속내를 드러내고자 한 작가에 대해 제대로 알고 사용하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어떤 생각과 배경을 가진 이가 이 말을 통해 자신의 깊은 속내를 표현하고자 했는지 알고 있을까? 혹자는 이 문구를 '민족 저항 시인'이라고 불리는 수많은 시인 중 한 명인 윤동주가 자신의 속내를 표현한 것이라는 정도는 알고 있을 것이다. 물론 더 자세히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윤동주라는 시인을 민족저항시인 중 한 명이며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라는 유고시집의 작가 정도로만 알고 넘기는 것은 너무 안타까운 일이다. 윤동주라는 젊은 시인을 그 정도로만 이해하고 지워버리기에는 그는 우리 민족의 가슴에 너무나 큰 애환을 남겼으며, 우리에게 자아 성찰이라는 매주 중요한 덕목의 중요성을 남긴 인물이기 때문이다. 전남 광양시 진월면 망덕리 바닷가의 한 오래된 가옥이 현재 우리에게 깊은 감동과 여운을 주는 시들이 묻혀있던 장소였다는 소식을 접한 본 작가는 알 수 없는 호기심과 끌림으로 윤동주라는 인물을 파헤치기 시작했다. 이후 윤동주라는 젊은이를 알아갈수록 당시 느꼈을 애환과 그 어려움 속에서 끊임없이 반성하고 안주하지 않으려는 열정을 느낄 수가 있었다. 또한 그러한 열정을 본인도 접하고 싶었고 직접 그의 흔적과 접할 때는 알 수 없는 만족감과 계속되는 기대감이 밀려왔다. 윤동주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나타나 지금 우리에게 남긴 글들을 쓸 준비를 하던 어린 시절의 흔적과 학업과 시에 대한 열정으로 동무들과 토론하고 함께 어울렸던 교정 그리고 일제의 핍박 속에서도 민족에 대한 사랑을 불태웠던 흔적들을 사진과 활자로 기록하는 것은 본인에게 크나큰 영광이었고 감동이었다. 시 자체가 아닌 윤동주라는 인물과 그 배경에 대해 알아 갈수록 그가 남긴 글들이 글이 아닌 가슴을 울리는 감동으로 다가오는 것은 막을 수가 없었다. 본인이 느낀 이러한 감동을 많은 사람들이 함께 느끼기를 원하면서 준비했다. 이를 위해 윤동주의 필체로 기록된 시와 윤동주의 출생을 시작으로 현재까지의 흔적, 그리고 취재 중 만난 윤동주의 숨결을 직접 느낀 분들의 생생한 회고도 준비했다. 또한 윤동주를 기억하기 위해 모아온 기록들 백두대간의 시.종점 끝과 끝의 백두대간 두 사람 윤동주 시인과 정병욱 교수의 역사가 뿌리내리기를 원하며 윤동주 시인의 주옥같은 19편 육필시집 원본을 정병욱 교수를 통하여 숨겨둔 곳 마루바닥 속에서 '윤동주 세상밖으로' 19편시가 태어나게 한 윤동주 시인의 '시 탄생지' 전라남도 광양시 망덕리에 '민족시인 윤동주시인과 정병욱교수 두사람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 시인으로서 우리민족의 독립정신을 얼마나 원하였던가 다시한번 생각하는 역사의 현장이 되길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