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page


12page

서재필 기념공원(徐載弼記念公園) - 소재지: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용암리 이곳은 우리나라의 자주독립(自主獨立)을 위해 헌신(獻身)하신 서재필 선생을 기리는 성역(聖域)이다. 선생의 호(號)는 송재(松齋), 본관(本貫)은 달성(達城)이며, 미국식 이름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이다. 1864년 1월 7일 외가인 보성(寶城)에서 부친(父親) 서광언(徐光彦). 모친(母親) 성주이씨(星州李氏)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7살 때 상경, 양외숙인 김성근(金聲根)의 집에서 공부하였으며 1882년 급제(及第)하여 교서관(校書館) 부정자(副正字) 벼슬에 올랐다. 1883년 일본 동경의 육군 호산(戸山)학교에 유학하고 1884년 귀국 후 김옥균(金玉均), 박영효(朴泳孝), 서광범(徐光範 등과 갑신개혁(甲申改革)을 주도하여 병조참판(參判) 겸 정령관(正領官)이 되었다. 그러나 개혁의 실패로 부모, 형, 아내는 자살하고 동생은 참형(慘刑)되었으며 어린 아들은 굶어죽는 참변을 겪었다. 선생은 일본을 거쳐 미국으로 망명하여 지금의 워싱턴대학에서 의학(醫學)을 공부, 1892년 한국인 최초의 의사(醫師)가 되었다. 1895년 조국의 부름을 받고 귀국하여 1896년 중추원(中樞院) 고문(顧問)에 임명되었고 4월 7일 최초의 한글신문인 독립신문(獨立新聞)을 창간하였으며 독립협회(獨立協會)를 조직하고 굴욕외교의 상징인 영은문(迎恩門)을 헐고 독립문(獨立門)을 건립하는 등 민족의 자주정신을 고취하였다. 1898년 국내 수구파(守舊派)들의 반대로 다시 미국으로 떠나 문구 및 인쇄업으로 크게 성공하였다. 1919년 3·1운동 소식을 전해듣고 한인회의 개최 및 한국친우회를 결성하고 임시정부(臨時政府) 구미위원회(歐美委員會) 위원장을 맡는 등 독립국가 건설을 위해 활발한 외교활동을 전개하고 전 재산을 독립운동 자금으로 바쳤다. 그 후 성요셉병원 등에서 임상병리학자로 명성을 떨치다 1947년 미군정의 최고 고문이자 과도정부 특별의정관(特別議政官)으로 귀국하여 통일된 민주국가 건설에 매진하여 국민들의 존경과 추앙을 받았으나 정쟁에 휘말린 시국을 개탄하고 미국으로 돌아가 1951년 1월 5일 87세를 일기로 생애를 마쳤다. 1977년 건국훈장(建國勳章) 대한민국장(大韓民國章)이 추서되었으며 1994년 미국에 모셔진 유해(遺骸)는 봉환(奉還)되어 국립묘지(國立墓地)에 안장(安葬)되었고 1991년 기념공원 조성사업을 시작하여 2003년 준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