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page

62 한국불교학 53집 마음)’이었다. 일제강점기 그는 “유무형 간에 노력은 생명의 불멸을 의 미하는 근본된 힘”이라는 신념을 가지고서, “언젠가 조국광복을 찾으리 라”는 유일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끊임없이 실천했다. 26) 이러한 그의 민 족의식 형성 과정에는 한용운의 영향이 지대했다. Ⅲ. 김법린의 민족운동 실천 1. 3․1운동과 중국 망명 1919년 3․1운동은 김법린의 일생에서 전환점을 마련해 주었다. 그는 동지들과 2월 28일 밤 10시경 한용운한테서 3․1 독립선언서 배부 지시 를 받았다. …君等은 우리 뜻을 同胞諸位에게 널니 알려 獨立完成에 邁進하라. 특 히 君等은 西山, 四溟의 法孫임을 구지 記憶하야 佛敎靑年의 力量을 잘 發揮하라. 27) 한용운이 말한 “서산․사명의 법손임을 기억하여 불교청년의 역량을 잘 발휘하라.”는 의미는 무엇일까? 이는 신상완의 글 「日本이 韓國佛敎 에 對 壓迫」 28)에 간접적으로 잘 드러나 있다. 즉 서산대사의 眞俗無 二主義에서 나온 애국열을 조국정신으로써 계승하고, 세계적 악마 일본 26) 김법린(1963) p.60. 27) 김법린(1946), 「三一運動과 佛敎」, 新天地 3, 서울, 서울신문사출판국, p.76. 28) 申尙琓(2005), 「日本이 韓國佛敎에 對 壓迫」,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7(한일관계 사료집),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pp.106-107.
8page

Ⅲ. 김법린의 민족운동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