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page


223page

독립운동가 박준승선생 일대기 임실이 낳은 위대한 선각가로 구국 항일독립운동의 횃불을 높이든 박준승선생은 1866년 고종3년 아버지 박호진선생과 어머니 복씨사이에서 셋째로 임실군 청웅면 아래배치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밀양이고 자는 성래이며, 천도교 도호는 자암이다. 그의 어린시절은 국내외적으로 암울한 시기였다. 안으로는 양반 지배층들이 외세와 결탁하여 민중에대한 수탈이 강화되고 있었으며, 밖으로는 1876년 병자수호조약이후 일본과 청나라등 주변국들의 침략이 노골화 되어지고 있었는데 이러한 시대적 상황은 반봉건 반침략 운동을 일으키고 있었다. / 선생은 15세가 되던 1880년에 원암 김영원선생을 스승으로 모시고 2년간 수학하였는데 당시에 후일 3.1독립운동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분이신 지강 양한묵선생과도 동문수학하였다. 1890년 동학에 입도식을 올리고 동학도인이 되었으며, 1892년 삼례에서 있었던 교조신원운동의 집회와 이듬해 원평에서 열린 척왜양창의 운동을 위한 대집회에도 참여하였다. 1894년에 고부에서 반봉건, 반침략을 기치로 내세운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자 선생도 운암면 지천리에서 최승우, 김영원선생등 임실의 동학도들과 함께 기포하였다. / 1896년부터는 동학의 포교에 전념하여 접주가 되었으며, 이듬해 32세에 수접주가 되었다. 1904년에 접어들어 동학교가 진보회를 조직하여 전국적으로 개화운동을 전개하게되자 동학지도자인 선생도 청웅면 남산리 흠다리에서 최승우, 김영원, 이기동, 조석걸, 허선 등 수백명의 동학교도들과 함께 단발을 하고 폐정개혁을 위한 진보회를 개퇴하였으며, 이때 손병희선생이 여러 차례 면회를 다녀가기도 하였다. 1907년에는 청웅면 향교리 성밭에 설치된 임실군 천도교 제2교구 교구장이 되었으며 같은 해에 교령이 되었고 이듬해엔느 도훈이 되었다. / 1915년 김승화씨를 부인으로 맞으면서 교직 수행을 위해 임실을 떠나 정읍군 산외면 평사리로 이사하였다. 1916년에는 전라도 도사로 임명되어 전라도 최고 책임자가 되었으며, 1918년에는 천도교 원로기구인 경도사에 추대되었다. 1919년 2월 24일 고종 황제의 국장에 참배하기위해서 상경하여 다음날 천도교 중앙총부에서 권동진선생으로부터 3.1독립운동에 대한 계획을 듣고 '나는 본래부터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터인 만큼 찬성한다'라고 말하면서 3.1독립운동 계획에 참여하였다. 그가 이처럼 결연한 의지를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은 동학농민운동을 하면서 확고한 신념으로 자리잡은 반외세, 반침략 자주독립의지가 표출된 것이었다. / 그리하여 천도교 대표의 한사람으로 3.1독립운동 민족대표 33인중에 들어가게 되었다. 3월 1일 거사 후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심문을 받으면서도 기회만 주어지면 언제든지 독립운동을 하겠다는 결연한 독립의지를 보여주었다. 징역 2년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고 만기출옥한 후 1926년 천도교 최고 예우적인 종법사에 추대되었다. 이듬해인 1927년 3월 23일 정읍군 산외면 청랑리 안계마을 자택에서 62세를 일기로 별세하여 정읍군 북면 마장리에 안장하였다. 1962년 3월 1일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1965년 6월 6일 정읍군 민관합동 사회장으로 정읍군 구미동 성황산에 이장하였다. 원광대학교 교수 라종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