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page

- 85 - 川洞) 3.11. 12 평해 남면 만산동(萬山 洞) 군자금 20원  4.6. 60 평해 원서면 상조금동 (上操琴洞) 군자금 80원  5.13. 17 평해 원서면 내선미동 (內仙味洞)출현     6.3. 30 평해 원서면 온정동(溫 井洞)출현     6.11. 12 평해 원서면 상조금동 출현     8.7. 17 평해 근서면(近西面) 탑구동(塔邱洞)출현     7.10. 6 울진 원남면(遠南面) 갈면동(葛綿洞)출현     각 주 1) 신돌석의 행적을 알려주는 자료는 현재 거의 전해지지 않고 있다. 다만, 홍원표가 엮은 단문으로 된 <신장군실기(申將軍實記)>와 <신의장전(申義將傳)>의 두 편의 글이 남아 있어 그의 행적의 대강을 밝혀주고 있을 뿐이다. 또한 그의 의병 항일전의 내역에 대해서는, 일 제측 자료이기는 하나, 《폭도사편집자료(暴徒史編輯資料)》와 《조선폭도토벌지(朝鮮暴徒討 伐誌)》가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자료들은 모두 내용상 과장되거나 은폐된 부분이 많아 철저한 사료비판이 요구된다. 2) 《독립운동사 1》, p.289 및 김규성(金奎聲) 역(譯) : 《김하락정토일록(金河洛征討日 錄)》(계몽사(啓蒙社), 1968), p.50. 정토일록(征討日錄)의 원문에는 "(김하락(金河洛) 의병진(義兵陣) 오월(五月)) 이십이일(二十 二日) 행진지사십리영덕(行陣至四十里盈德) 하새어장교청(下塞於將校廳) 본진(本陣) (영덕의 병진(盈德義兵陣)) 의장내견(義將來見) 성신씨(姓申氏)(신돌석(申乭石))야(也)"라고 되어 있 어, 신돌석의 합류사실만 기록되어 있고 구체적인 활동내용은 보이지 않는다. 3) 《독립운동사 1》, p.574 참조. 4) 위의 책, p.575. 5) 《독립운동사 1》, p.574 ; 김의환(金義煥) : 《항일의병장열전(抗日義兵將列傳)》(박영 사(博英社), 1971), p.70. 등누유자각행로(登樓遊子却行路) 가탄단허낙목횡(可歎檀墟落木橫) 남자이칠성하사(男子二七 成何事) 잠의추풍감개생(暫倚秋風感慨生). 6) <신장군실기(申將軍實記)>(《독립운동사자료집(獨立運動史資料集) 3》, 1971), p.411. 7) <신장군실기(申將軍實記)>, p.412. 한편, <신의장전>(p.416)에서는 경광국(慶光國)이 그 의 의병 재기를 후원해 그에게 5, 6정의 총포를 제공한 것으로까지 기록되어 있다. 8) 《운강선생창의일록(雲崗先生倡義日錄)》(《독립운동사자료집 1》, 보훈처 1971), p.247 . 9) 본서 <허위(許蔿)> 항목 참조. 10) 《조선폭도토벌지(朝鮮暴徒討伐誌)》(《독립운동사자료집 4》, 보훈처, 1971), p.738 ; 《의병항쟁사(義兵抗爭史)》(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4), p.258. 11) 《조선폭도토벌지(朝鮮暴徒討伐誌)》, p.738. 12) 《폭도사편집자료》(《독립운동사자료집 4》, 보훈처, 1971), p.574. 13) 《독립운동사 1》, p.576 참조. 14) 이 표는 일제측 기록인 《폭도사편집자료(暴徒史編輯資料)》와 《조선폭도토벌지(朝鮮 暴徒討伐誌)》에 나타나는 신돌석 항목에 의거 작성하였다. 그러므로 그의 활동 가운데 많 은 부분이 누락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여기에서는 일제측의 피해상황을 은폐하기 위해 의병측의 구체적인 전과는 거의 기록해 놓지 않고 있다. 또한 수십명 단위로 출현하는 의병은 소부대로 분산된 이후의 신돌석의 한 부대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