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page

- 69 - 윤희선(尹憙善) 소모중군(召募中 軍) 충주 출신. 이사진(李士鎭)소모후군장충주 출신. 박경팔(朴敬八)방 수 장(防守將)  이명상(李明相) 단양의장(丹陽義 將) 공(이강년)의 절제(節制)를 받음. 풍기(豊基)에서 전사 함. 성병태(成秉泰) 중군진 후군장(中 軍陣 後軍將) 순흥(順興)출신. 본관은 창령(昌寧). 송재현(宋在賢) 방 수 장삼량리(三良里) 출신. 본관은 은진(恩津). 심장섭(沈章燮)금 란 장(禁亂將)삼랑리(三浪里) 출신. 본관은 은진(恩津). 조정희(趙正熙)척 후 장(斥候將)  장진성(張進聖)포 장(砲將) 용궁(龍宮) 출신. 본관은 울진(蔚珍). 각 주 1) 박정수(朴貞洙), 강순희(姜順熙) 편(編) : <운강선생창의일록(雲崗先生倡義日錄)>(《독립 운동사자료집(獨立運動史資料集) 1》, 보훈처, 1971), pp.212∼213. 김의환(金義煥) : <한 말(韓末) 의병운동(義兵運動)의 분석(分析)-이강년(李康秊) 의병부대(義兵部隊)를 중심(中心) 으로->(《한일문화(韓日文化)》제1집 제2권, 부산대 한일문화연구소, 1962.12), p.119. 이 논문은 이강년(李康秊)의 의병항전 전말을 일기체로 기록한 《운강선생창의일록(雲崗先生倡 義日錄)》을 소개한 뒤 이를 집중분석한 것이다. 2) 운강이강년선생기념사업회(雲崗李康秊先生記念事業會) 편(編) : 《해동의사운강이강년선 생약사(海東義士雲崗李康秊先生略史)》(우신인쇄사(宇信印刷社), 1980), p.30. 한편, 송상도 (宋相燾)의 《기려수필(騎驢隨筆)》, <이강년(李康秊)>조(條), p.123에서는 "후칠월역파병(後 七月亦罷兵) 수재지사사인석(遂載摯師事麟錫) 재요삼년(在遼三年) 시환가(始還家)"라고 하여 이강년이 서간도에 3년간 머물러 있었고 또 이때 사제(師弟)의 예(禮)를 올린 것으로 되어 있어 약간 상이한 점을 보이고 있으나, 보다 신빙성있는 자료로 판단되는 《운강선생창의일 록(雲崗先生倡義日錄)》등의 기록에 비추어 볼 때 착기(錯記)가 아닌가 생각된다. 3) 《독립운동사1》(보훈처, 1970), pp.544∼555 ; 김의환(金義煥) : 앞의 글, pp.119∼ 121. 4) 송상도(宋相燾) : 《기려수필(騎驢隨筆)》(국사편찬위원회, 1955), p.123 ; 《독립운동사 1》, pp.220∼221. 5) 《독립운동사자료집 1》, pp.223. 밀조의 원문은 아래와 같다. "오호(嗚呼) 여죄대악영 (予罪大惡盈) 황천불우(皇天不佑) 유시강린사(由是强隣 ) 역신농권(逆臣弄權) 사천년종사(四 千年宗社) 삼천리강토(三千里疆土) 일조위견양지역(一朝爲犬羊之域) 유여일루지명(惟予一縷 之命) 유부족석(猶不足惜) 유념종사생령(惟念宗社生靈) 자이애통이선전이강년위도체찰사(玆 以哀痛以宣傳李康秊爲都體察使) 근송칠로(勤送七路) 이양가재자(以良家才子) 각립의병(各立 義兵) 배위소모관(拜爲召募官) 각인부종사의(刻印符從事矣) 약유부종명자(若有不從命者) 관 찰수령(觀察守令) 선참파출이처분(先斬罷出而處分) 기보일루(畿堡一縷) 순어사직(殉於社稷 ) 새서밀하(璽書密下) 이차지실거행사(以此知悉擧行事)" 6) 《운강선생창의일록(雲崗先生倡義日錄)》(이하 《운강창의록(雲崗倡義錄)》이라 약칭) , p.230. 이때 합류해온 김현규 의병부대에는 해산군인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전력향상에 큰 도움이 되었다. 7) 《운강창의록(雲崗倡義錄)》, p.235. 그후 조동교는 군진을 소란케 한 죄목으로 이강년 에 의해 처형되고 말았다. 8) 《의병항쟁사(義兵抗爭史)》(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4), p.251. 9) 위의 책, pp.252∼253. 10) 《운강창의록(雲崗倡義錄)》, pp.255∼257. 11) 《운강창의록(雲崗倡義錄)》, p.276. 이 백담사 전투는 안동 서벽전투, 봉화 내성전투 , 안동 재산전투 등과 함께 이강년이 의병항전중 거둔 승첩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것이다. 12) 백남규는 이강년이 경기도로 북상하기 전에 그로부터 호남창의장(湖南倡義將)의 직함을 받아 권용일과 함께 그동안 경상, 충청 일대에서 4천명의 의병을 소모해 가지고 안동 서벽 에 주둔해 있던 중, 이강년이 운기리에 당도해 있다는 소식을 듣고 합류해온 것이다. (《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