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page

- 47 - 9) 민용호(閔龍鎬) : 《관동창의록(關東倡義錄)》(국사편찬위원회, 1984), p. 50. 본 자료에 서는 그의 이름을 김도현(金燾鉉)으로 기록하고 있다. "여(余)민용호(閔龍鎬)사진사이호성(使 進士李虎成) 송도현치서왈(送燾鉉馳書曰) 복문족하(僕聞足下) 평일구담충의(平日口談忠義 ) 숙독춘추(熟讀春秋) 상욕일시도용지수(常欲一試屠龍之手) 당차침과상첨지추(當此枕戈嘗瞻之 秋) 일휘백수(一麾白袖) 용사청명(勇士聽命) 명진명동(名振 東) 화당해수(和黨解綬) 누전여 왜(累戰與倭) 신집기고(身執旗鼓) 기재동의(其在同義) 우절경곤(尤切傾 ) 단지분애각(但地分 涯角) 미참군공지하연(未參軍功之賀筵) 괴난괴난(愧난愧 ) 부대하지전(夫大廈之顚) 비일목 가지(非一木可支) 홍도지분(洪濤之奔) 비일위가항(非一葦可抗) 즉금일지의(則今日之義) 팔성 의진(八城義陣) 상일내심역열후(尙一乃心力烈後) 가설불공지수의(可雪不共之讐矣) 혹가동맹 공진부(或可同盟共進否) 방소탑이대의(方掃榻而待矣)" 10) 《관동창의록(關東倡義錄)》, p.53. 11) 《관동창의록(關東倡義錄)》, pp.52∼53. 12) 김강수(金康壽) : 앞의 논문, pp.26∼27 참조 13) <답병대장(答兵大將)>(독립기념관 소장 김도현 관계 문서). 김강수(金康壽) : 앞의 논문 , pp.30∼31에서 재인용. 14)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 1906년 2월 14일자. 이만도(李晩燾) : 《향산일기(響山 日記)》(국사편찬위원회, 1986), p.849. 15) 김도현(金道鉉) : <포고서양각국문(布告西洋各國文)>(독립기념관 소장). 16) 조선주차군사령부(朝鮮駐箚軍司令部) : 《조선폭도토벌지(朝鮮暴徒討伐誌)》(《독립운 동사자료집(獨立運動史資料集) 3》, 1971), p.678. 17)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1906년 2월 7∼14일자, 5월 2, 6, 7일자 및 6월 21일 자 참조. 18) 김강수(金康壽) : 앞의 논문, pp.43∼44 참조. 19) 《벽산선생창의전말(碧山先生倡義顚末)》, <절명시(絶命詩)>, p.728. "아생오백말 (我生五百末) 적혈만강장(赤血滿腔腸) 중간십구재(中間十九載) 수발노추상(鬚髮老秋霜) 국망루미이(國亡淚未已) 친몰심갱상(親歿心更傷) 만리욕관해(萬里欲觀海) 칠일당복양(七日當復陽) 독립고산벽(獨立故山碧) 백계무일방(百計無一方) 백백천장수(白白千丈水) 족오일신장(足吾一身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