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page

- 125 - 조동식(趙東植)(상주) 강익(姜 )(순흥(順興)) 기우만(奇宇萬)(나주) 황재현(黃載顯)(남포(藍 浦)) 이승룡(李承龍) 이봉하(李鳳夏)(이상 양근(楊根)) 민용호(閔龍鎬) 심상희(沈相禧) 유진규 (兪鎭奎)(철원) 박주영(朴周榮)(이천) 최문환(崔文煥)(함흥) 이중린(李中麟)(예안) 김교명(金敎 明)(풍기) 박주상(朴周庠)(예천) 금석조(琴錫祚)(봉화) 정규혁(丁奎奕)(영천) 심진원(沈鎭遠 ) (광주(廣州)) 이인영(李麟榮)(원주) 유중락(柳重洛)(춘천) 남궁령(南宮 )(홍천) 권대형(權大 亨)(횡성) <척화거의사실대략>과 더불어 을미의병 항전 중에서도 화서학파의 의병항전을 집대성한 원용정(元容正)의 <복은(伏隱)>3)에서도 역시 아래와 같은 인물들을 거의 대표로 들고 있 다. 정운경 신지수 원규상(元奎常) 정원모(鄭遠謨) 이강년 이범직 정인설(鄭寅卨) 김백선(金伯 善[先] ) 서상렬 이춘영 이필희 주용규 안승우 김복한(金福漢) 이설 이소응 유진규(兪鎭奎 ) (철원) 민용호 심상희(沈相禧) 노응규 이진응 원용석(元容錫) 정화용(鄭華鎔) 유치경(兪致慶 ) 또한 유인석의 의병항전을 시종일관 수종(隨從)했던 항재(恒齋) 이정규(李正奎)는 화서학 파의 거의 인물 가운데 소위 6의사라 불리우던, 의병항전에서 전사 순국한 6인의 열전을 지 었다. 이 <육의사열전(六義士列傳)>4)에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의 전기가 기록되어 있다. 주용규 서상렬 이춘영 안승우 홍사구 이범직 이들 모두의 공통점은 유인석의 동문인으로 호좌의병의 핵심 인물들에 해당되는 이들로서 항전 당시 장렬하게 최후를 마친, 거의 순국한 인물이라는데 있다. 이정규는 이 밖에도, 주로 화서학파를 중심으로, 거의한 아래와 같은 인물들의 약전을 기 술, 그의 문집<잡기(雜記)>5) 속에 수록하였다. 유인석의 충실한 참모로서 호좌의병항전에 처음부터 끝까지 수종했던 그의 기록들은 신빙성이 높아 사료적 가치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필희 원용정 이강년 신지수 원용석 안승우 이춘영 홍사구 박정수(朴貞洙) 오인영(吳寅 泳) 정화용 이조승(李肇承) 윤정학(尹正學) 지원영(池源永) 김형전(金衡銓) 박유채(朴瑜采 ) 이범직(이상 화문(華門)) 김운선(金雲仙) 방인관(方仁寬) 김태원(金泰原[(元)] ) 민긍호(閔肯 鎬) 이진룡(李鎭龍) 이상의 네 가지 자료상에 나타난 의병장들은 유인석(柳麟錫)을 주축으로 한 호좌(湖左)의 병진의 거의 인물에 그 초점이 모아져 있는 까닭에 을미의병의 전모를 살필 수 없다는 데 그 한계가 있다. 즉 학통성이 강하게 표출된 기록이라 하겠다. 하지만, 화서학파를 정점으로 한 을미의병항전을 이해하는데는 최고의 가치를 지닌 자료가 되고 있다. 다음으로,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학파의 핵심인물로 초기에 의병항전을 벌이기도 했던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은 전라도 일대에서 활약한 두드러진 의병장들의 전기인 <호남의 사열전(湖南義士列傳)>6)을 지었다. 성세가 대단했던 후기 호남 지역의 의병항전 연구에 많 은 기여를 하리라고 본다. 기삼연(奇參衍) 김용구(金容球) 김봉규(金奉奎) 박경래(朴慶來) 김준(金準) 전수용(全垂鏞 [庸] ) 김영엽(金永曄) 김익중(金翼中) 김치곤(金致坤) 박영건(朴永健) 정원숙(鄭元淑) 성경 수(成卿修) 여기에 수록된 인물들은 대개 노사학파에 접맥된 인물로 성재(省齋) 기삼연(奇參衍)의 의 병항전 때 동참했으며 성재 사후에는 각자 그 활동 영역을 넓혀갔던 인물들이 대부분이다 . 하여튼, 이들은 모두 호남지역의 후기 의병항전에서 커다란 활약을 보여준 이들이다. 호남 의병장에 대한 또 다른 기록으로는 의병장 고광순(高光洵)의 족제(族弟)인 고광렬(高 光烈)이 지은 <삼의사행장>(三義士行狀)7)이 있다. 그는 여기서 3의사 곧, 고광순 고제량(高濟亮) 이순식(李淳植)[대극(大克)] 의 약전을 기술하였는데, 그 가운데 고광순과 고제량 양인은 1907년 9월 거의 후 담양,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