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page

- 122 - 1937년에 홍범도는 그의 부하들과 함께 스탈린의 한인 강제이주 정책에 따라 다시 중앙 아시아로 이주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는 최후의 귀착지가 된 현재의 카자크공화국의 크즐 -오르다 지방에 정착, 집단농장에서 만년을 외로이 보내다가 1943년 75세(혹은 76세)로 작 고해 그곳 공동묘지에 묻혔다.26) 각 주 1) 복정섭, 황현걸, 김파 : <실록 홍범도 장군>(《사회와 사상》1988년 11월호, 한길사) , p.266. 2) 김세일 : 《역사기록소설 홍범도 4》(제3문학사, 1990), p.263 참조. 3) 신용하(愼鏞廈) : <홍범도(洪範圖) 의병부대(義兵部隊)의 항일무력투쟁(抗日武裝鬪爭) > (《한국민족운동사연구》1, 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1986), p.35 및 김정미(金靜美) : <홍범 도(洪範圖)>(《조선민족운동사연구(朝鮮民族運動史硏究)》1, 일본(日本)조선민족운동사연구 회, 1984), p.196 참조. 4) 청소년기의 머슴살이와 제지소 노동자로 일하던 시절의 홍범도에 대해서는 최근 알려진 소련 중앙 아시아의 한인사회에서 발행되는 신문《레닌기치》에 연재되었던 김세일의 《소 설 홍범도》에 묘사되어 있다. 5) 강덕상(姜德相) : 《조선독립운동의군상(朝鮮獨立運動の群像)》(청목서점(靑木書店), 일본 (日本), 1984), p.83. 6) 신용하(愼鏞廈) : 앞의 글, pp.38∼39 참조. 7) 《폭도사편집자료(暴徒史編輯資料)》(《독립운동사자료집3》, 보훈처, 1971), pp.640∼ 651 참조. 8) 유인석(柳麟錫) : 《의암집(毅菴集) 상(上)》(경인문화사(景仁文化社), 1976), p.369. 9) 신용하 : 앞의 글, pp.51∼54 참조. 10) 위의 글, pp.54∼5. 11) 홍범도는 이와 같은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부하 임재춘(林在春), 정일환(鄭日煥 ) 등에게 군자금 6백원을 주어 간도로 파견, 화약을 구입해 오도록 조치하였고, 노령의 독립 운동자들에게도 탄약지원을 요청하는 등 탄약 구비에 노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탄약구매 계획은 일군의 국경수비가 워낙 철저하고 청국관헌들의 비협조로 말미암아 실패하고 말았 다. 12) 유인석(柳麟錫) : 《의암집(毅菴集)》권16, <답홍여천(答洪汝千)>(경술(庚戌) 2월(月) 2 4 일(日)). 신용하 : 앞의 글, p.69에서 재인용. 13) 강덕상(姜德相) : 《조선독립운동의군상(朝鮮獨立運動の群像)》, p.89 및 신용하 : 앞의 글, p.69 참조. 14) 신용하 : <홍범도(洪範圖)의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의 항일무장투쟁(抗日武裝鬪爭) > (《한국학보(韓國學報)》43, 일지사(一志社), 1986년 여름), pp.2∼3 참조. 15) 송우혜(宋友惠) : <북간도(北間島)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의 조직형태(組織形態)에 관한 연구(硏究)>(《한국민족운동사연구》1, 지식산업사, 1986. 8), pp.131∼136 ; 신용하 : <홍범도(洪範圖)의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의 항일무장투쟁(抗日武裝鬪爭)>, pp.10∼11 ; 졸고 : <한국독립군(韓國獨立軍)의 봉오동승첩(鳳梧洞勝捷) 소고(小考)>(《한국민족운동사연 구》4, 1989. 10), p.120 참조. 16) 졸고 : 앞의 논문 p.121. 이 대한군북로독군부의 간부진은 다음과 같다. 북로독군부 부장(府長) : 최진동 부장(副長) : 안무 북로제일군사령부 부장(部長) : 홍범도 부장(副長) : 주 건(朱 建) 참모 : 이병채(李秉埰) 향관(餉官) : 안위동(安危同) 군무국장 : 이원(李園) 군무과장 : 구자 익(具滋益) 회계과장 : 최종하(崔鍾夏) 검사과장 : 박시원(朴施源) 통신과장 : 박 영(朴英) 치중(輜重)과장 : 이상호(李尙浩) 향무(餉務)과장 : 최서일(崔瑞日) 피복과장 : 임병극(林炳 極) 제1중대장 : 이천오(李千五) 제2중대장 : 강상모(姜尙模) 제3중대장 : 강시범(姜時範) 제4중대장 : 조권식(曺權植) 제2중대 제3부대장 : 이화일(李化[花]日) 17) 이 월강추격대대의 편제와 병력은 다음과 같다. (독립기념관 소장 「안천추격대(安川追 擊隊) 봉오동부근전투상보(鳳梧洞附近戰鬪詳報)」, <三, 피아병력(彼我兵力)>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