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page

- 100 - 5.25. 보성송곡(松谷)  6명 사망 1명 사살   7.7. 고흥점암(占岩) 팔경산(八景山) 12016명 사망     7.21. 화순동복(同福) 사평(沙坪) 20041명 사망     8.3. 장흥천포(泉浦) 청포(靑浦) 709명 사망     9.18 ∼19. 보성복내(福內)      의병65명 투항 9.25. 보성봉덕(鳳德) 법화(法化)      안규홍 피체 10.13 . 보성 흑석산 (黑 石山)  7명 사망   임창모(林昌模) 사망 각 주 1) 안규홍이 보성, 순천 등 주로 전남 중동부 지역에서 활약한데 비해, 전해산은 장성, 영광 을 중심으로 한 중서부지역에서, 또 심남일은 나주, 강진을 비롯한 중남부 지방에서 각각 항일전을 펼쳐 이들이 후기의 전남의병을 주도하였던 것이다. 2) 안규홍(安圭洪)은 자료에 따라 안규홍(安圭洪)(《전남폭도사(全南暴徒史)》, 《폭도(暴 徒)에 관(關)한 편책(編冊)》,《폭도사편집자료(暴徒史編輯資料)》), 안제홍(安濟弘)(《매천야 록(梅泉野錄)》) 등의 이명으로 적혀 있다. 이 밖에도 안담살이, 안진사(安進士) 등의 별칭 도 있었다. 3) 안동기(安東圻), 안충환(安忠煥), 안기섭(安奇燮) 편역(編譯) : 《담산실기(澹山實記)》(독 립유공자호남유족회(獨立有功者湖南遺族會), 광주, 1983), pp.57∼58. 《담산실기(澹山實 記)》는 1954년 보성에서 처음으로 간행되었고, 이 자료는 1971년 《독립운동사자료집(獨 立運動史資料集) 3》(국가보훈처)에 수록되었다. 그뒤 1983년에는 독립유공자 호남유족회에 서 자료를 다시 보충하여 같은 서명으로 재출간하였다. 4) 홍영기(洪英基) : <안규홍의병(安圭洪義兵)의 조직(組織)과 그 활동(活動)>(《한국학보(韓 國學報)》49, 일지사(一志社), 1987. 겨울), p.72. 5) 《담산실기(澹山實記)》, p.50. 6) 홍영기(洪英基) : 앞의 논문, p.75. 7) 《담산실기(澹山實記)》, p.35 : 이미정(李美貞) : <평민의병장(平民義兵將) 안규홍(安圭 洪)의 의병활동연구(義兵活動硏究)>(고려대학교(高麗大學校) 교육대학원(敎育大學院) 석사학 위논문(碩士學位論文), 1985. 11), p.20. 여기서 참모장을 맡은 오주일은 서울에서 온 인물로 해산군인으로 추측되며, 병법에 밝은 전략가로 안규홍의 의병항전에 큰 역할을 한 인물이다. 8) 이미정(李美貞) : 앞의 논문, pp.52∼53 참조. 9) 《담산실기(澹山實記)》, p.35 : 홍영기(洪英基) : 앞의 논문, p.94 참조. 10) 홍영기(洪英基) : 앞의 논문, pp.92∼93. 11) 《담산실기(澹山實記)》, p.54. 12) 홍영기 : 앞의 논문, pp.88∼89. 이 표는 일제측 기록인 《전남폭도사(全南暴徒史)》, 《폭도(暴徒)에 관(關)한 편책(編冊)》 및 《폭도사편집자료(暴徒史編輯資料)》등과 한국측 자료인 《담산실기(澹山實記)》등의 자 료를 토대로 만든 것이다. 그런데, 이 표에서의 안규홍 의병부대의 구체적인 전과는 일제측 기록에 의존한 만큼 그 실상이 축소 은폐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