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page

에드워드 포니(Edward Forney) 대령은 57 년 내가 사령부 참모부장이던 시절에 수석고 문으로서 함께 일해 당시 인원(T/O)과 장비 (T/E) 등 해병대의 기반을 수립했다. 내가 만 난 포니 대령은 우리 해병을 너무나 사랑했 고 오늘날의 해병대가 있게 한 은인이다. 그 는 우리 해병대에게 ‘포항(浦項)기지’라는 큰 선물을 남겨주어 지금까지 세계 최고 최상의 상륙전 모기지로 활용하게 되었다. 50년 흥남철수작전 때 미 10군단 참모부장 겸 탑재참모였던 포니 대령은 피난민들에게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다. 한국전쟁이 끝난 뒤 다시 한국에 돌아와 사령부 수석고문으로 2년 동안 많은 일을 한 그는 귀국해 장군으로 전역하였으며 1965년 사망했다. 2005년 5월 거제도에서 흥남철수작전 기념 비 제막식에 애드워드 포니 대령과 알몬드 장군의 손자들과 현봉학 씨도 참석해 더욱 의미 있는 행사가 되었다. 그의 증손자 벤 포 니(Ben Forney, 24세)가 지금 전남 목포시 영흥중학교에서 원어민 교사로 봉사하고 있 다. 그는 ’09년 7월 대학을 졸업하자 한미교 육위원단에 한국 교사지원을 했다. 벤 포니 는 어릴 때는 증조부에 대해 전혀 몰랐다. 회 계사였던 그의 할아버지 에드워드 포니(그 의 아버지와 이름이 같음, 74세)는 아들 네드 (Ned)와 손자 벤(Ben)에게 자기 아버지에 대해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벤 포니는 “아 마도 해병대 장교였던 증조부가 참전으로 가 정을 돌보지 못해 그런 것 같다”고 추측했다. 벤 포니가 태어나기 전에 사망한 증조부 이 야기를 듣게 된 것은 우연이었다. 역사 교사 인 그의 아버지 네드 포니가 1990년대 중반 에 교원연수 프로그램으로 3주간 한국에 왔 을 때, 해병대 통역관으로 흥남철수작전에서 증조부와 함께 일했던 현봉학 씨로부터 “포 니 대령의 손자냐?”라는 뜻밖의 전화를 받았 다. 손자(네드)와 증손자(벤)는 그렇게 포니 대령의 미담을 알게 됐다. 2000년 미국을 방 문한 현 박사와 포니 장군의 후손들은 알링 턴 국립묘지에 누워있는 포니 묘역을 찾고 매우 자랑스러워 했다. 그 뒤 현 박사가 ’07년 세상을 뜬 뒤에도 양 가족의 ‘대(代)를 이은 우정’은 이어지고 있다. 얼마 전 도하 일간지 에 벤 포니가 그의 증조부가 구출했던 흥남 철수의 피난민들과 기막힌 상봉을 하는 소식 이 소개돼 깊은 감동을 주었다. ‘한국의 모세’ 현봉학 해병대 통역관 또 한사람은 ‘한국판 모세’ 현봉학(玄鳳學) 박사다. 그는 내 해사 동기생 현시학 제독의 형님이다. 흥남철수 때 10만여 명의 피난민 후송에 큰 역할을 해 붙여진 별명이다. 그가 진동리전투의 김성은 부대장 통역관이 된 것은 순전히 강압이었다. 미 25사단장 킨 (Kean) 장군 통역관으로 부임하던 그를 해 병대 백남표 소령이 붙잡아 왔다. 통역이 없 던 김성은 부대장을 위해 백 소령이 현 씨가 통역요원이라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다. 현 박사는 미국 리치먼드의 버지니아 주립의 대에서 임상병리학을 전공한 의사였다. 1950년 3월 귀국해 모교 세브란스의대에 국 내 최초로 임상병리실을 개설한 그는 전쟁이 나자 자신이 터득한 영어로 조국에 봉사할 길을 찾던 중 황성수(黃聖秀) 국회부의장 소 개로 신성모 국방장관을 찾아갔다. 신 장관 은 이 기특한 청년을 통역관으로 미 25사단 장에게 보내기로 결정한 후 장관추천서를 주 어 현지에 부임시키던 상태였다. 그렇게 김성은 부대로 온 현봉학 씨는 해병대 장비 확보에 크게 기여했다. 김성은 부대장은 그가 현시학 해군 소령의 친형이라는 사실에 더 친밀감을 느끼고. 그에게 오랜 숙원을 설명 했다. 미 25사단에 가서 신형 BAR자동소총 및 병기와 탄약 등 군수품을 확보해 오라는 부탁 이었다. 다음 날 아침 현 씨는 현금을 가득 담 은 가방을 든 장교 한 명과 부대를 나섰고 하 루 뒤에는 많은 BAR 등 병기와 탄약과 군수품 수십 상자를 트럭에 가득 싣고 돌아왔다. 현봉학 박사는 1950년 11월 해병대사령부가 강원도 고성 지구의 고저에 주둔하고 있을 때, 참모장 김성은 대령 때문에 해병대에 다 시 종군했다. 거기서 미 10군단장 알몬드 장 군을 만난 현 씨가 리치먼드에 있는 버지니 아 주립의대에서 공부했다는 말에, 군단장이 깜짝 놀라며 “내 고향도 바로 버지니아주의 루레이(Luray)”라며 매우 반가워했다. 이러 한 인연으로 알몬드 장군은 한국 해병대 통 역관이던 그를 신현준 사령관에게 간청하여 미 10군단 민사부 고문으로 스카웃 하였다. 현 박사의 고향인 함흥은 당시 중공군 포위 망에 갇혀 철수작전이 시작되었다. 미 해병 1사단과 한국 해병대, 한국군 3사단과 수도 사단, 미 육군3사단과 7사단 등 군 병력만 10 만여 명이 되었다. 거기에다 수많은 피난민 들이 부둣가에 인산인해를 이루었는데 대부 분 기독교인으로서 공산당 색출에 도움을 준 이들은 적치(敵治)가 시작되면 가장 먼저 보 복을 당할 사람들이었다. 이들이 찾아와 애 타게 매달리는 고향 사람들을 돕고 싶었던 민사고문 현봉학 씨는 애끓는 심정으로 알몬 드 군단장에게 건의했으나 여건은 어려웠다. 그런데 문제가 뜻밖에 해결되었다. 미 10군 단 참모부장 겸 탑재참모였던 미 해병대 포 니 대령은 현 씨의 간절한 부탁에 따라 함정 탑재(搭載)의 기술적 대안(代案)을 제시해 알몬드 장군을 설득했다. 한 사람이라도 더 싣고 떠나려는 현 씨의 노 Vol. 37 대한민국 해병대 www. rokmc.mil.kr 29 Focus NOW 글 공정식 前 해병대사령관 10만여 명의 목숨을 구해낸 흥남철수작전의 두 영웅 포니 대령과 현봉학 박사 미 해병대 포니 대령 1950년 12월 14일 흥남철수작전을 조직적으로 완수한 공로로 애드 워드 알몬든 미 10군단장으로부터 훈장을 수여 받는 애드워드 포니 미 해병 대령, 10군단 부참모장 공정식 前 해병대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