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page

특 집 군사연구 제129집 9 동의단지회의 실체를 해명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를 노정할 수밖에 없었다. 본고에서는 이런 실정을 감안하고 그동안 축적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동의단 지회의 실체를 해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동의단지회의 연원이었던 동 의회에서의 안중근의 역할 등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안중근이 동의회 의병을 이 끌고 항일전을 전개한 국내진공작전의 실상을 밝혀볼 것이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안중근이 동의단지회를 결성하게 된 시대적 배경을 비롯하여 결성 시기와 장소, 12명 회원의 실명(實名), 결성 목적과 취지 등 동의단지회의 실체 해명에 필요한 여러 과제를 해결해 보고자 한다. 이 작업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의병투쟁과 하얼빈 의거가 안중근의 구국활동상 연속선상에 놓여 있기 때문에 하얼빈의거가 갖는 역사적 의의와 연해주의병의 역사적 위상을 더욱 명확히 규정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Ⅱ. 안중근과 동의회(同義會)의 관계 1907년 10월 연해주에 망명한 안중근은 동의회(同義會)와 동의단지회(同義斷指會) 등 두 단체에 참여해 의병투쟁을 전개하였다. 결사의 형태는 다르지만, 두 단체의 성격과 의의는 일맥상통하고 있다. 동의회는 창의회와 더불어 연해주의병의 중심 단체였고, 동의단지회는 동의회의 활동이 위축되던 상황에서 안중근 자신이 주도 하여 결성한 단체였다. 곧 동의단지회는 동의회의 후신으로, 그 설립목적과 참여 인물이 더욱 한정되고 구체화된 단체였다고 할 수 있다. 안중근은 동지들과 함께 의병단체에 준한 결사인 동의회에 참여해 활동하였다. 연해주의병은 국내에서 항전하던 단위 의병부대와는 편제에서부터 그 성격을 달 리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단일부대로 편성되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여러 단위부 대가 이합 집산되는 복잡한 구조와 성격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정한 편제 나 엄격한 명령계통이 상존해 있었던 것이 아니다. 이런 까닭에 연해주의병은 그 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조직과 편제를 달리할 수밖에 없었으며, 한인 밀집지역 도 처에 의병이 분산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의병을 주도한 인물들의 성향이 다양하였던 점과 한인사회가 연해주 각지에 산재해 있었다는 점에서 자연 히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이들 각기 분산된 의병세력을 통합, 운영하기 위한 방편으로 결사의 성격을 가진 단체가 등장하게 되었던 것이다. 2) 이것이 2) 朴敏泳, 大韓帝國期 義兵硏究 , 한울, 1998, 292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