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page

안중근의 군인관의 형성과 전개 52 군사연구 제129집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우여곡절 끝에 최재형의 영향 아래 있는 전제익ㆍ 엄인섭ㆍ안중근을 중심으로 300여명의 의병조직이 다음과 같이 탄생되었다. 都營將 全濟益 參謀長 吳乃凡 參 謀 張鳳漢, 池云京 軍 醫 미국으로부터 온 후 일본병에게 체포되어 會寧에서 총살당함 兵器部長 金大連 同 副張 崔英基( 御衛長 ) 經理部長 姜議官 同 副長 白圭三 左營將 嚴仁燮 第一中隊長 金某(속칭 「완빠우잔」 사) 第二中隊長 李京化(현재 蘇城에 있음) 第三中隊長 崔化春(위와 같음) 右營將 安重根 中隊長 三人 34) 위와 같이 조직된 의병부대는 갑산 무산 등지에 집결하여 해로를 이용하여 600여 명의 의병이 두만강 하구 녹둔(鹿屯)에서 중국 선편을 이용해 청진과 성진 사이의 해안으로 상륙하였다. 35) 육로로는 안중근을 비롯한 300여 명이 지신허(현 비노그 라드노예)를 출발하여 두만강을 건너 홍의동(洪儀洞)과 신아산(新阿山)을 걸쳐 회 령에서 무산으로 이동하였다. 이후 의병부대는 두만강상류 산악과 삼림지역으로 이동하여 현지에 있는 의병부대와 연합하여 무산 공략에 성공하면 회령으로 진격 하여 점령하고 종국에는 두만강 상류지역을 장악한다는 작전계획을 갖고 있었 다. 36) 300여 명의 의병부대는 7월 3일(음 6월 5일) 밤 8시 야반에 지신허를 출발 하여 홍의동(혼쯔르코르)에 도착하였다. 37) 첩보를 입수한 일제는 척후병 4명을 파견하였으나 7월 7․8일경 의병에게 총살당하였다. 34) 日本 外交史料館, 「排日鮮人退露處分ニ關スル件」, 在西比利亞 第5卷. 35) 국사편찬위원회, 「경비수 제6822호」,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11, 459; 박민영, 「러시아 연 해주지역의 의병」, 323쪽. 36) 국사편찬위원회, 「바실리 예고르비치 각하께」,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34, 12쪽. 37) 국사편찬위원회, 「境경시의 신문에 대한 안응칠의 공술(제9회)」,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7, 434~435쪽. ..